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담뱃갑 경고 그림의 금연효과에 관한 종단연구

원문정보

A Longitudinal Study of Cigarette Packs’ Graphic Health Warning Effects on Smoking Cessation

이선민, 박준우, 전승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government enforced a law for the graphic warning labels required to be added on cigarette packages in late December 2016. We take this opportunity to initiate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cigarette graphic health warnings on Korean smokers’ cessation behavior. Extant literature investigated incumbent effects of the policy in numerous foreign countries but longitudinal studies investigating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newly initiated policy were rarely found. In addition, most of research done in the laboratory reported confounding results supporting both of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effects of graphic health warnings. Based on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Witte, 1992), a new moderated mediation research framework has been suggested and tested in order to fill this research gap. The results found that graphic health warnings increase smokers’ perceived threat, and their perceived threat would lead to cessation behavior. Yet this mediating effect if perceived threat was moderated by smokers’ self-efficacy. In other words, smokers with low self-efficacy would cease smoking due to high threat but smokers with high self-efficacy would not. Finally, theoretical as well as managerial contributions regards public health polic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2016년 말 한국에서 시행된 담뱃갑 경고 그림 부착 의무화 시행령을 연구 기회로 삼아 한국 시장 흡연 소비자의 금연행태 변화를 현장에서 종단연구로 조사하였다. 외국에서는 이미 실행되고 있는 경고 그림의 금연효과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경고 그림의부착 전후 단계에서 동일 응답자의 반응을 추적 조사하여 비교한 종단연구는 많지 않다. 그뿐만아니라, 대부분 실험법을 사용한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경고 그림은 금연에 긍정적 효과와 함께 부정적 효과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학술적 간극을 해결하기 위해 확장병행과정모델(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여, 경고 그림이 일으키는주관적 위협이 매개하는 금연효과를 자아 효능감이 조절하는 연구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경고 그림은 흡연자에게 흡연의 폐해로 인한 주관적 위협을 자각시켰으며, 주관적 위협으로 인해 금연 행동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경고 그림이 일으키는 주관적 위협이 금연효과를 매개하는 효과는 자아 효능감이 낮은 흡연자에게만 유효하였다. 즉, 경고 그림이일으키는 주관적 위협이 자아 효능감이 높은 흡연자의 금연 행동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장병행과정모델을 담뱃갑 경고 그림 맥락에 적용하여 한국 시장에서 경고그림의 금연효과를 현장 연구를 통해 실증한 본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 및 정책적, 실무적 공헌점에 대해 토의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문헌 연구 및 가설 설정
 3.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및 절차
  2) 측정 변수
 4. 연구결과
  1) 연구 참여자의 특징
  2) 항목의 신뢰도 검사
  3) 결과 분석
 5. 결과 및 토의
  1) 연구결과 및 한계점
  2) 학문·사회적 기여도 및 실무적 활용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선민 Seon Min Lee.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BK21Plus 연구교수
  • 박준우 Joon Woo Park. 동국대학교 박사 수료
  • 전승우 Seungwoo Chun.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