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present paper is to analyze restorative justice system including theory, national policy, and practice of british youth justice. In Britain, after a slow start, predominantly at the grass roots level, the movement behind restorative practices has proliferated and rapidly gained momentum. New Labour’s ascension to government catapulted restorative justice into the limelight in 1997. As part of what was hailed as ‘the most radical overhaul of the Youth Justice System in fifty years’, restorative justice principl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Crime and Disorder Act 1998 underlying the Final Warning, The Reparation Order, and the Action Plan Order. The Referral Order, the first legislated disposal to be predominantly based upon the Principles of Restorative Justice was introduced in the Youth Justice and Criminal Evidence Act 1999. Regardless of changes representative of devolution of power to the local level, New Labour’s policies also represented a significant move towards a more centralized, managerial national system of youth justice. The general themes that underlie New Labour’s ‘New Youth Justice’ are managerialsm, communitarianism and populist punitiveness; to which may be added the sub themes of paternalism, responsibilisation and re-moralization. Therefore, in light of the extensive criticisms levelled against its youth justice policy, one may question whether Restorative Justice Principles are compatible or even implementable in New Labour’s Youth Justice System. The paper takes into consideration that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restorative justice may differ from the political interpretation, and that practice may be influenced by both and yet may diverge when faced with the practical realities of implementation. Therefore in providing a critical analysis, it is not the purpose of the study to provide definitive answers to the problems and issues of restorative justice and its national implementation but rather to raise questions and critically examine the available literature.
한국어
본 논문은 영국의 회복적사법제도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위해 소년사법과 국가정책 그리고 이론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1997년 영국에서는 지역사회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소위 ‘새로운’ 사법제도의 일환으로 회복적 사법이 형 사사법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었다. 그 결과, 1998년 범죄무질서법(Crime and Disorder Act 1998)에 명문화되었고, 또한, 1999년 청소년사법과 형사증거법(Youth Justice and Criminal Evidence Act 1999)에 명문화되면서 청소년사법과정에 회복적 사 법절차가 포함되었다. 하지만 형사사법관련 법규범에 대한 회복적 사법의 명문화는 ‘지역사회의 삶의 질 향상’ 보다는 ①청소년사법과 관련된 국가정책의 효율적인 관리, ②행정의 중앙집권화 를 통해 지방에서도 정부의 통제력을 높이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 은 영국정부가 여러 가지 범죄학 혹은 형사사법의 이론과 철학들을 이용하여 청소년사 법제도를 이전 제도들과 비교하여 처벌적이며 포퓰리즘에 근거한 정책들을 만들어냈는 지에 대해서 비판적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영국정부는 청소년 사법제도를 활 용해 청소년들을 더욱 통제함과 동시에 법적 · 사회적 · 복지적 측면에서 청소년들을 소 외시켰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법집행은 즉시적이고, 날카롭고, 강력한 집행에 기준을 두었으며, 청소년들의 “건전한 육성”보다 “철저한 관리”에 더욱더 집중하였다. 본 논문은 영국의 회복적사법제도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위해 세 부분으로 구성되 었다. 먼저, 2장에서는 청소년 그리고 형사사법정책들이 정치화 과정들에 대해서 역사 적인 과점에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청소년들의 “건전한 육성”보다는 “적절한 관리” 에 집중하기 위해 회복적 사법 측면에서 탄생한 소년범대응팀(Youth Offending Team: YOTs)으로 인해 발생한 형사사법제도, 지역사회, 피해자들 사이의 변화에 대해서 분석 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회복적 사법이 청소년들의 건전한 육성을 위해 얼마나 기여를 하였는지 혹은 통제 및 관리측면에서 기여하였는지에 대해서 비판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Youth Offender Team and Referral Order
Ⅳ. Conclusion: Critical Analysis
《Reference》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