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강원 동해안도서(島嶼)의 제의와 전설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Rituals and Folk Tales in Islands Area in Gangwon-do Province

장정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exist various rituals for sea gods performed by residents in the area of the east coastline of Gangwon-do province, which are roughly categorized as ritual for YeoSeonghwang (女城隍神, female Seonghwang god), rain and a good haul and Namguenbongheon(男根奉 獻 a ritual related to phallic symbol). In this area, people use the term "Haesin(海神)" or "Haerang(海娘)" rather than "Seonghwangsin(城隍神)", and their rituals have a tendency to be performed with male deification. There are many Burae(浮來) myths in terms of marine deities, and Namguenbongheon(男根奉獻) connotes the wish for abundance. A Ritual for rain is held close to the sea, praying for Usunpungjo(雨順風調 proper rain and wind in time), and Wonhonhwaso(冤魂話素 a motif of tragic and revengeful spirits), which is suggested as a kind of myth that eventually pursues communion and harmony through Haewon(解寃 settlement of ghost’s deep sorrow or resent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Sinwi(神位 the place where the ghost stay), reveals different aspects of deification tales in this area of east coastline in Gangwon-do. Among 33 uninhabited islands on the east coast, 19 oral folk tales are handed down until now. As a result of examining documents and oral folk tales, holds the archetypal tales on maritime culture most. The traditional transmitted tales in islands of the east coast of Gangwon-do have som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a motif on Burae(浮來) myth, islands tales, tales on mountain movement, and mythical figur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nd ways to develop resources with beautiful ports, shores, historical remains related to traditional stories and oral folk tales. The islands area adjacent to the port of the east coast is not only a workplace for a living also a place of faith. Especially, it is the very region that various mythical narratives of the residents in the east coast in Gangwon-do still exist and their correlatives are being handed down.

한국어

강원도 동해안에서 주민들에 의해서 행해지는 마을의 해신제는 다양한 바, 크게 여성황 제, 기우제(祈雨祭), 풍어제, 남근봉헌(男根奉獻) 등으로 나타난다. 동해안에서는 성황신(城隍 神)이라는 명칭보다는 해신(海神) 또는 해랑 (海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남자 신격(神格) 과 함께 제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해양신격의 왕래로 볼 때 부래(浮來) 신화가 많으며 남근 봉헌은 풍요제의적 속성을 내포하고 있다. 기우제는 우순풍조를 기대하는 심리에서 바다에서 제의를 진행하며, 원혼화소는 해원과 신위설정을 통한 화합지향적 속성을 띤 신화를 분석되 어 동해안의 다양한 성향의 신격전승 양상을 보여준다. 현재까지 동해안 무인도서는 33개소 로 이 가운데 구전설화는 19개 예화가 전승된다. 동해안 무인도의 기록과 구전을 검토한 결 과 그곳은 해양문화적 설화원형을 가장 강하게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강원지역 동해안 해양도서의 전승상 특징은 부래화소적 전승, 도서형태적 전승, 산이동담 전승, 인물연관적 전 승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의 특징을 살려 미항(美港)과 해안 그리고 전승설화역사유 적 및 구전설화를 자원화하는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동해안 항포구와 인접한 도서는 생업 의 대상이자 신앙의 외경처로 존재하고 있다. 특히 동해안 주민들의 신화구술 상관물이 전승 되고 있는 다양한 전설의 현장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 요약
 Ⅰ. 머리말
 Ⅱ. 동해안 해신제와 도서전설의 내용과 분석
  1. 해신제 구전신화 내용
  2. 동해안 도서전설의 내용과 양상
 Ⅲ. 동해안 도서전설의 전승양상과 특징
  1. 형태적 특징에 의한 전승
  2. 신화적 상상력에 의한 전승
  3. 해양제의적 기원에 의한 전승
  4. 부래도와 부래신에 의한 전승
  5. 산이동담과 실기형에 의한 전승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정룡 Jang Jung-ryong. 강릉원주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