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양성사회의 통합을 위한 정치교육의 과제

원문정보

Task of Political Education for Integration of Diversity Society

허영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case in Germany. To achieve the aim, this article identifies following themes: conflicts in diversity society and political education, political education and principle of reflecting controversy, and case of political education for integration of diversity society. The bottom line of this study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political education has challenges in the sense of providing appropriate alternatives for dealing with anxiety and worries, considering social polarization, bias/discrimination and cultural essentialism resulting from the conflicts in a diversity society. Second, political education has to provide the necessary places and chances in order to develop competences for democratic negotiation processes, considering positive effects of diversity for social integration. Third, in the context of conflicts in a free-democratic society, political education needs to focus on the principle of reflecting controversy, and represent the principle more concretely in the aspects of critical competence and conflict competence. Fourth, we have to keep in mind also the question regarding the eventual limitations of democratic controversy. In other words, the claims postulated regarding opening, if possible, to other views/perspectives in a plural/diverse society should not be overly interpreted in the sense of advocating an endless or infinite opening. Fifth, we can identify dialectical relationships between conflicts in a diversity society on the one hand and challenges/tasks of political education on the other, especially in terms of the positive/exemplary case of dialogue community project called “K!D: Kommune im Dialog”,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the provincial political education agency in Saxony, in which conflicts in a diversity society and challenges/tasks of political education have by and large tensional inter-relationships, and, so to speak, are sublated concretely.

한국어

본 연구는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성사회의 통합을 위한 정치교육의 과제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글에서 내세우고자 하는 핵심명제는 다음과 같이 진술할 수 있다. 첫째, 다양성사회의 갈등에서 연유하는 사회적 양극화, 편견과 차별, 문화적 본질주의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정치교육은 불안과 우려를 다루기 위한 적절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도전을 안고 있다. 둘째, 다양성은 사회적 분열이나 양극화를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적 결속과 단합을 위해 긍정적인 효과를 수반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정치교육은 민주적 협상과정에 대비하기 위한 능력(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필요한 장소와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사회의 다원성․다양성이 정치교육을 위해 지닌 함의를 살펴보는 데 있어서, 특히 자유민주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에 주의를 기울여볼 때, 정치교육에서 합의사항으로 간주되고 있는 논쟁점반영의 원칙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이 맥락에서 두 가지 측면, 즉 비판역량과 갈등역량을 통해 논쟁점반영의 원칙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넷째, 이때 민주적 논쟁의 한계에 대한 질문도 역시 늘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다원주의 사회가 가능하면 다른 시각․관점에 대해 개방적인 상태에 놓여 있어야 한다는 요청사항을 무제한의 개방화를 옹호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다섯째, 다양성사회의 통합을 위한 실증적인 정치교육 사례로서 독일 작센주정치교육원의 대화공동체 사업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다양성사회의 갈등과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정치교육의 도전․과제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다양성사회의 갈등과 정치교육
 Ⅲ. 정치교육과 논쟁점반영의 원칙
 Ⅳ. 다양성사회의 통합을 위한 정치교육 사례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허영식 Young-Sik Huh. 청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