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판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K-SFA)의 타당화 연구

원문정보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Focused Attention scale (K-SFA)

김소정, 윤혜영, 권정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show self-focused attention which is defined as attention-focus on negative cognition, behavior, physical symptoms and internal sensations of self. As self-focused attention not only increases social anxiety but exacerbates objective performance level, it is considered as a cardinal factor in assessment and treatment of social anxiety disorder.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Focused Attention scale (SFA, Bögels, Alberts, & De Jong, 1996) and validated it among social anxiety disorder group and non-clinical adult group. In study 1,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administered to a non-clinical adult group (N=226). Results showed that the two factor model consisted of ‘self-focused attention-arousal’ and ‘self-focused attention-performance’ was proper for the Korean population. In study 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FA was investigated among social anxiety disorder group (n=202) and non-clinical adult group (n=252). Results indica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SFA had appropriat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two groups. Also, the two factor model was confirmed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treatment were discussed.

한국어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지, 행동, 신체증상 및 내부적 감각에 주의를 기울이는 자기초점적 주의를 나타낸다. 자기초점적 주의는 사회불안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수행 수준을 저하시키기에 사회불안장애의 평가와 치료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변인 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 집단과 지역사회 일반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두 단계의 연구를 통 해 한국판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elf-Focused Attention scale: K-SFA)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확인하고 타당화 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226명의 일반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시행한 결과, ‘자기초점적 주의-각성’과 ‘자기초점적 주의-수행’의 두 요인이 도출되어 원척도 의 타당화 연구(Bögels, Alberts, & De Jong, 1996)와 동일한 2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202명의 사회불안장애 집단과 252명의 일반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판 SFA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1에서 도출된 2요인 구조의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 다.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한국판 SFA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교적 적합하였으며, 확인적 요 인분석 결과에서도 2요인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일반성인 집단에서의 타 당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한국판 SFA가 사회불안에서의 자기초점 적 주의 평가에 적합한 도구이며, 이후 연구 및 치료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목차

요약
 연구 1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분석
 결과
  한국판 SFA의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 2
  연구대상
  측정도구
 결과
  사회불안장애 집단과 일반성인 집단 간 차이
  한국판 SFA의 신뢰도
  한국판 SFA의 하위 요인 및 주요 준거 변인간 상관
  한국판 SFA의 확인적 요인 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김소정 Sojung Kim.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윤혜영 Hyae-Young Yoon.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권정혜 Jung-Hye Kwon.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