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영어
A Mythology is a story the gods and divines described in the languages a To have their own myth means that they have their own semantics and philosophical concept in order to realize their dream or hope, symbolizing the imagery and event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in mythology. An architecture is human’s creative work to separate the inner space from the outer space and include their lives by constructing a structure to divide nature and even land. The human’s desire is represented well in the house or any structures. Therefore, the space composition of house is not restricted to the physical entity of the house. This thesis not only aims to show how the myth in Jeju island has influenced on the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but to discuss what meaning the myth has in the corelation between the space composition and the myth. Jeju Myth and Jeju traditional houses have many research accomplishments. However, research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myth and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is difficult to find. This is because Myth and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were considered separate subjects. This paper was intended to reveal the real meaning of Myth through the grafts of myth and traditional houses. To that end, This paper was intend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Jeju Myth Munjeon Bonpuree on the formation and space layout of Jeju traditional houses. All the characters in the story of Munjeon Bonpuree are members of the family and eventually become deities and take charge of each area of the house. In that all of the characters in Munjeon Bonpuree have a one-to-one responding position to the spaces of traditional house in Jeju, it is an important resource to read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Jeju traditional house. This is because the Jeju traditional houses based on Jeju myth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understanding Jeju citizens' view of world and religion.
한국어
신화는 언어로 된 구성물로서 신적인 존재에 관한 이야기 또는 성스러운 이야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신화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집단 구성원 공동의 의미체계와 사유의 틀을갖추고 있음을 뜻하며, 미래에 실현해야 할 것들을 등장인물의 형상이나 사건으로 상징화되어있다. 건축은 외부공간과 구분되는 내부를 이루기 위해 만들어놓은 인간의 창작물이다. 자연과구분되고 땅과 구분되는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담아내고 있다. 여기에는 인간의희망과 욕망이 깃들여 있다. 주거형태의 구성이 단순히 물리적인 현상에만 국한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신화와 건축이라는 큰 틀에서 제주 신화가 제주전통민가의 공간배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주신화와 제주건축의 상관성과 관련해서 제주전통민가의 공간배치에 있어 제주신화가 지니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제주신화와 제주민가와 관련한 많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신화와 전통 주거문화의 상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연구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이는 신화와 전통주거문화를 별개의 주제로 논의해 왔던 기존의 연구 성과의 한계이므로 이로부터 발생되는 사고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야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해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 성과와 달리 신화와 전통민가의 접목을 통해 신화의 실존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신화인<문전본풀이>를 중심으로 신화의 내력담이 전통민가의 형성과 공간배치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문전본풀이>에 나오는 인물들은 모두 가족 구성원으로서 제주민가의 공간과 일대일의 대응구조를 지닌다는 점에서 제주전통민가가 가진 의미구조를 밝힐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제주전통민가의 형성에 있어 제주신화가 지니는 의미에 대한 논의는 제주도민의 세계관과 종교심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이다.
목차
1. Foreword
2. Jeju Myth and Jeju Traditional Houses Based on Marine Culture
3. The traditional houses as a space for coexistence through Munjeon Bonpuree
4. Conclusion
Bibliography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