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경계에서 출발해 경계를 넘어 : 1990년대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초국적 연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From Boundary, Beyond Boundaries : Transnational Women’s Solidarity of the Korean ‘Comfort Women’ Movement in the 1990s

이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arts with problematizing some scholars who believe that the Korean ‘Comfort Women’ movement is based on nationalism or the mainstream feminist knowledge system which has marginalized the Korean women’s movement.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in South Korea had sought to expand the universality of women’s human rights beyond time and space and to explore the intersection of gender and nation. The movement has been involved in the UN Human Rights Subcommittee and Human Rights Commission since the early 1990s when international alliances and solidary were unimaginable among Korean people. Through the effort of the Korean council and surviving victims, the United Nations' ‘Comfort Women’ recommendation was finally drawn u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concrete process of the movement through analyzing both oral interviews and written literature. As confronting the Japanese government’s ongoing denials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ambiguous stance, the Korean Council attempted to resolve the problems through the pressur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y collaboration with the global women’s rights movement and efforts from the Korean survivors and activists, the issue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has been greatly recognized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an important agenda of sexual violence and sexual slavery in armed conflicts. The notable fact here is that the Korean ‘comfort women’ movement did not simply meet with the international women's human rights system, but led the movement and renewed the international women's human rights norms. In fact, a local community in East Asia has served as an impetus for advances in global conventions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The South Korean ‘comfort women’ movement should be legitimately recorded and remembered in domestic and foreign history as a major example of the transnational women’s movement.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1990년대 일본군 ‘위안부’ 운동이 초국적 운동으로 성장하는 과정을분석하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적 차이를 넘어 민족과 젠더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여성인권의보편성을 확장하고자 했던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운동은, 1990년대 초반부터 유엔인권소위원회 및 인권위원회를 비롯해, 비엔나 인권대회, 북경여성대회를 거쳐 유엔의일본군 ‘위안부’ 권고안을 끌어내는 등 당시는 상상조차 못하던 초국적 여성운동의 전형을새롭게 구축해 왔다. 본고는 정대협 운동을 중심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구술면접과문헌자료 간 교차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일본정부의 지속적인 부인과 한국정부의 애매한 입장 사이에서 국제기구의 압력을통해 문제를 돌파하고자 했던 정대협은 피해 당사자들은 물론 가해국과 다른 피해국활동가들과 적극적인 연대활동을 펼치며 글로벌 여성인권운동과 조우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전시성폭력, 전시성노예제로 국제사회에 크게 공명하게 된 배경이다. 역사의정의를 세우고 계승하고자 하는 후세대가 기억해야 할 점은 일본군 ‘위안부’ 운동이국제 여성인권 체계와 단순히 만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운동을 주도하면서 국제 여성인권규범을 새롭게 써갔다는 사실이다. 우연과 필연이 겹치고, 사람과 사람이, 사람과 조직이조우하는 장에서 한국 여성운동의 힘을 통해 국제사회가 움직이고, 동아시아의 작은로컬로부터 진행된 실천으로 글로벌 규약은 변화되어 왔다. 초국적 여성운동의 주요한사례로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운동이 국내외 역사에 정당하게 기록되어야 하는 이유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초국적 여성운동의 시작: 초창기 유엔 인권소위원회 및 인권위원회 활동
 3. 동아시아 여성의 관점에서 국제인권사 다시 쓰기: 비엔나 세계인권대회와 베이징 세계여성대회
 4. 전시 조직적 강간과 성노예제의 개념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와 맥두갈 보고서
 5. 나가며: ‘글로벌’ 페미니즘을 넘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나영 Lee, Na-Young. 중앙대학교 교수, 사회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