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조각에 나타난 트라우마의 반복적 표상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Repetitive Representation of Trauma in Contemporary Sculpture

최미애, 김대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eud defines the obsessive repetition of trauma as a late act in which someone who has not prepared to lose and is late preparation for the loss of the past. In this regards, contemporary sculptors, including trauma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try to see how the repetition of art works to overcome loss and process of sublimation In order to embrace the concept of sublimation through the repetitive formative language of sculpture, the trauma is concentrated not on the abnormal psychological symptom of the individual but on how to represent the repressed emotion. In the contemporary sculpture, when trauma is use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of art, it is concentrated more on repetitive elements such as repetitive representation and repetitive acts.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work in which the repetitive formative language is prominent among the works of the preceding artist. The trauma is eventually overcome by restoring the wounded self through reconstruction of memory and establishing and healing one self. After postmodernism,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ontemporary art is one self and one’s identity, and it can be seen that art is focused on individuals who are more vulnerable and wounded by modern society, which is mechanized and consumed. In this regards, The function of contemporary art could be important to overcome trauma of oneself.

한국어

프로이트는 트라우마의 강박적 반복을 미처 상실을 준비하지 못한 주체가 과거의 상실에 대비하 기 위한 뒤늦은 행위라고 정의한다. 이에 준하여 개별적인 경험에 근거한 트라우마를 내포한 현대 조각가들은 반복적 예술행위를 통해 어떻게 상실을 극복하며 승화의 과정으로 나아갔는지를 살펴보 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트라우마를 예술가 개인의 병적 증후가 아니라 억압된 감정을 어떻게 표 상화 하는가에 집중해야 할 것이며, 트라우마를 예술의 심리기제로의 역할에 무게를 실어 연구한다. 현대조각에서 트라우마가 예술의 심리기제로 쓰여졌을 때 반복적 표상과 반복적 행위에 집중하여 반복적 요소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선행 작가의 작품 중에서 반복적 조형언어가 두드러지는 작품을 중심으로 살필 것이다. 트라우마는 결국 기억의 재구성을 통해 상처 받은 자아를 회복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자아를 확립하고 치유하는 것으로 극복된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 또한 자아라고 본다면, 예술은 기계화, 소비화되어지는 현대사회 에서 보다 상처 입은 개개인에게 집중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로써 트라우마를 극 복하는데 현대미술의 제 기능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트라우마를 내포한 현대 조각의 반복적 표상
  1. 성적 트라우마와 성정체성
  2. 보편적 죽음에 대한 불안
  3. 전쟁에 의한 공포와 절망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미애 Choi Mi-Ae.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외래교수
  • 김대길 Kim Dae-Gil.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