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데이카십체(定家十体)』의 가체 수용연구 - 유현체(幽玄体)와 우신체(有心体)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Semantic Changes in the Shape of Poems Written by Teika Jittei and Sangoki

임찬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Heian period, there has been scattered evidence of attempts to classify Waka and their values. To explain the implications of each of the poem types, this study will classify nine or ten types of poems. Some of the poem types in this study are known as: Waka, Kinto, Tadamine and Tosiyori among others. Teika, a representative poet during the middle ages, also attempted to classify waka.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shape of the poems written by Teika Jittei and Sangoki have changed and been handed down over time. Yugentei indicates that Love song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subject matters,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major shape of poems. This is in marked contrast to Teika’s essay on Waka poems, which pursue solitude and the esoteric world. In contrast, Sangoki’s is based on sensibilities, such as watching an attractive harlot’s appearance. The defined indication by Sinke includes a rather cold and lonely feeling. The evaluated subjects of Yugen’s songs are rooted in Teika’s ten shapes of poems. One of characteristics for Usintei is shown by Teika’s false book, which defined Omosirok’s shape of poems as almost the same as the context of reminiscence. Exposing one’s situations or agony is illustrated by the content of Saigyo’s songs In this manner, this paper finds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ame shape of poems depending on the stream of time or the situations that the poets were in. However, the classification method for ten shapes of poems is still found with a similar attitude and mindset. However, it still finds the same attitude toward

한국어

와카를 분류하고 의미를 설명한 시도는 헤이안 시대부터 있었다. 긴토(公任) 다다미네(忠岑) 도시요리(俊頼) 등은 가체를 9가지 또는 10가지로 분류하고 각 가체에 대해 설명하였다. 중세시대의 대표 시인인 데이카(定家)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데이카 십체(定家十体)』와 그의 가탁서 중 하나인 『산고키(三五記)』를 서로 비교할 때 가체의 의미가 변화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유현체를 소재별로 조사하면 연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데이카는 세속에서 벗어나 고독함과 심오한 세계를 추구하는 의미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산고키』에는 유녀의 매혹적인 외모를 보는 듯한 감각에 기초하고 있다. 나아가 신케(心敬)가 정의한 유현은 차갑고 적적함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오모시로키(面白) 가체를 『산고키』에서는 우신체(有心体)의 특징 중 하나인 술회로 받아들이고 있다. 예를 든 사이교(西行)의 노래를 통해서도 자신의 처지나 고통을 토로하는 내용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동일한 가체를 바라보는 시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또는 시인이 처한 시대상황에 따라 달라지고 있음을 발견한다. 그러나 10가체로 분류하는 방법에는 동일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데이카 가탁서(假託書)
 3. 『데이카십체』와 『산고키』
  3.1. 신케와 유현체
  3.2. 오모시로키(面白き)가체의 특징
  3.3. 술회(述懷)로 표현되는 우신체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임찬수 Lim, chan soo. 중앙대학교 아시아문화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