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ways to maximize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 of sports by creating jobs in the field of sports. To sol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pecifical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official documents such as documents from the Korean Sports Council,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ports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Culture and Sports Center miner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gain able to categorize the workforce and employment status of young people in the fields of athletics, and to categorize jobs analysis in the public sector to maximize the economic and social value of sports. The following statements ar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sports administration and governance organizations need to be reorganized. Second, sports administration should seek to create jobs for the convergence of sports industr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velopment of sports and social enterprises.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shift from a focus on fostering the workforce to a policy on employment. Fifth, sports businesses should have a confirmation system and expand the sports jobs and business establishment support center.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 분야 일자리 창출을 통하여, 스포츠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해결하고자 대한체육회, 통계청, 스포츠개발원,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헌 등 공식 문서로 된 자료를 조사,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다시 청년 인구의 노동 력과 체육분야 고용현황을 범주화하고, 체육분야 공공부문 일자리 분석을 범주화하여 스포츠의 경제・사회적 가치를 극 대화 할 수 있는 자료를 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행정과 거버넌 스 조직을 재정비해야 한다. 둘째, 스포츠츠산업 융복합의 일자리 창출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스포츠 사회적 기업 육성 확대해야 한다. 넷째, 인력양성 중심에서 취업중심 고용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 다섯째, 스포츠기업 확인제 도입 및 스 포츠 일자리・창업지원 센터 확대 운영해야 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문제
Ⅱ.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자료의 분류 및 분석
3. 자료처리방법
Ⅲ. 이론적 배경
1. 청년 인구 및 노동력 현황
2. 청년 취업자 및 고용률
3. 스포츠사업체 현황
4. 스포츠산업 종사자 및 고용 현황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체육 분야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방안
2. 스포츠의 경제·사회적 가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