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세종특별자치시 생활체육 중장기 발전 방안 탐색

원문정보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Body Lifestyle Medium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NAVIGATION

김진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mid - to long - term development plan for the lifestyle and physical education of Sejong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From January 2018 to June 2018, we used a deep interview technique for a total of 10 people who are experts in time, physical education groups, and academia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Based on a total of 505 responses, we were able to derive 6 large areas of 11 stations.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six major domains was found in 129 responses (25.3%) of the overall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the balance of public spport fac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spport marketing policies. The second is that 120 members (23.7%) are able to cope with the strengthening of job competence, members' groups, strengthening of administrative power, and knowledge of lifelong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Area, The third most frequent lifestyle sports sup - port and the year - on - year increase in the number of lifestyle athletes were replaced by 99 (19.6%) of the set of advanced lifestyle programs. Fourth, the collaboration with the ministries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the collabo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was "governance", accounting for 85 (16.9%) of the total responses. Fifth, the public sports club public recruitment accounted for 50 (9.9%) of the needs of the public sports club business, The final factor is that the number of responses of "Establishment of Sports Clubs by Region" was 23, which accounted for 4.5% of the total responses.

한국어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 생활체육 중장기 발전 방안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 기 위해 2018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세종시, 체육단체, 학계 전문가 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기법을 이용하 였다. 총 505개의 반응을 바탕으로 11개의 중영역과 6개의 대영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여섯 개의 대영역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공공체육 시설 균형개발, 스포츠마케팅은 ‘스포츠산업 정책 육성’이 전체 반응 중 129개(25.3%)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는 직무역량강화, 회원종목단체 행정력강화, 생활체육지도자 전문성은‘체육회 행정조직 체계화’로 반응 수가 120개(23.7%), 대영역으로 위치되었고, 세 번째로 높은 빈도를 보인 생활체육 서비스 지원, 어르신 생활체 육 확대는 ‘선진 생활체육프로그램 정착화’ 99개(19.6%)로 대변되었다. 네 번째는 소관부처 소통, 유관기관과의 협업 은 ‘거버넌스’ 로 전체 반응 중 85개(16.9%)를 차지하였다. 다섯 번째는, 공공스포츠클럽 공모는 ‘공공스포츠클럽 사 업’의 필요성이 50개(9.9%)를 차지하였으며, 마지막 요인은, 권역별 체육회 균형은 ‘권역별 체육회 설립’의 반응 수는 23개로 전체 반응의 4.5%를 차지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Ⅲ. 결과 및 논의
  1. 스포츠산업 정책육성
  2. 체육회 행정조직 체계화
  3. 선진 생활체육프로그램 정착화
  4. 거버넌스
  5. 공공스포츠클럽 추진
  6. 권역별 체육회 설립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진성 Kim Jin-Sung. 충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