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하재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관련 급여화에 따른 작업치료사들의 임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원문정보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 about medical insurance payment related o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rehabilitative dysphagia therapy

송아영, 오영주, 윤영식, 차태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reatment and the clinical experience of reduce in the number of treatments after the coverage of functional electronical stimulation for rehabilitation dysphagia therapy. Targeting 9 occupational therapists who conducted Dysphagia rehabilitation therapy i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the conversation was conducted total two times in December 2017 through discussion. Data collection was transcribed through word processor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Scientific Phenomenology by Giorgi procedure. Clinical experiences felt by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ccording to the insurance coverage of function of electrical stimulation for rehabilitative dysphagia therapy were derived as 9 semantic units, 7 sub-factors, 5 factors. Composing factors were identified as 1) Decrease of application targets after coverage, 2) Ambiguity of reduction standards, 3) Problems of VFSS results interpretation, 4) Decrease in quality of treatment and 5) duplicity of coping after reduction.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1) Restriction of application ranges caused by the limitation to central nervous system patients after coverage, 2) Uncertainty of standards to extend the treatments, 3) Reduction results according to subjective evaluation standards by higher level institutions, 4) Different reading results from patient's function, 5) Increase of reuse rate of pads caused by the coverage, 6)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grade and dysphagia insurance payment and 7) Passive responses of medical staffs. Lastly, semantic words were identified as 1) Decrease in the number of treatments due to the restriction of applicable patients, 2) Complaints about the necessity of treatments for non-applicable patients and about the restrictions on the applicable patients, 3) Different VFSS extension standards for each patient, 4) Reduction according to the doctor’s comments about VFSS results of senior institutions, 5) Ambiguity of reading standards about the aspiration findings in VFSS results, 6) Different opinion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doctors about VFSS interpretation, 7) Difficulty in pad management and increasing use of shortcuts in using pads, 8) Decrease in medical grade and decrease of insurance payment of nursing hospitals, due to the actions to raise the Diagnosis-Related Groups Payment for the reduction of dysphagia and 9) Medical staff’s passive attitudes at the time of coordination application for appeal of reduction. Following results show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clinical institutions, and based on thi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fter the coverage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rehabilitative dysphagia therap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의 급여화 후 치료 현황 및 수가 삭감에 관해 겪고 있는 임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전 충청권에서 연하재활 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9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총 2회에 걸쳐 토론을 통한 대화를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워드프로세스를 통한 필사로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과학적 현상학 절차에 따라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의 급여화에 따른 작업치료사들이 느끼는 임상 체험은 9개의 의미단위, 7개의 하위구성요소 그리고 5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로는 1) 급여화 후 적용대상의 감소 2) 삭 감 기준의 애매함 3) VFSS 결과지 해석의 문제점 4) 치료의 질적 측면 감소 5) 삭감 후 대처의 이중성으로 파악되었으며 하위구성요소로는 1) 급여화 후 중추신경계 대상자 한정에 따른 적용 범위 제한 2) 치료 연장에 대한 기준의 불명확성 3) 상급기관의 주관적 평가기준에 따른 삭감 결과 4) 환자의 기능과 상이한 판독 결과 5) 급여화에 따른 패드 재사용율 증가 6) 요양등급과 연하 수가와의 관계성 7) 의료진의 소극적 대응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 의미단어로는 1) 적용대상자의 제한 으로 인한 치료 건수의 감소 2) 적용 비대상자들의 치료 필요성과 적용 대상의 제한에 대한 불만 3) 환자들 마다 상이한 VFSS의 연장 기준 4) 상급기관의 VFSS 결과에서 의사의 코멘트에 따른 삭감 유무 5) VFSS 결과에서 흡인 소견에 대한 판독 기준의 애매모호함 6) VFSS 해석에 대한 치료사와 의사의 입장 차이 7) 패드 관리의 어려움과, 패드 사용에 관한 편법 활용의 증가 8) 연하의 삭감에 대해 포괄수가를 높이기 위한 대응으로 인한 요양등급의 감소와 요양병원의 수가 감소 9) 삭 감의 이의신청에 대한 조정신청 시 의료진의 소극적 태도로 나타났다. 다음의 도출 결과로 현재 임상기관 내 작업치료사가 겪고 있는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연하재활 기능적전기자극치료의 급여화 후 작업치료사가 대처해야할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2. 자료 분석
  2.3.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4. 질적 연구의 엄밀성 확보
 3. 연구 결과
  3.1. 급여화 후 적용대상의 감소
  3.2. 삭감 기준의 애매함
  3.3. VFSS 결과지 해석의 문제점
  3.4. 치료의 질적 측면 감소
  3.5. 삭감 후 대처의 이중성
 4. 고찰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송아영 A Young Song. 건양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오영주 Young Ju Oh. 건양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 윤영식 Yeong Sik Yun. 건양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 차태현 Tae Hyen Cha.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