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housing sentiment indices can affect housing markets empirically. For this purpose, we emplo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by using sentiment indices such as Construction Business Survey Index, Housing market Consumer Survey Index and Land market Consumer Survey Index. As a result of PCA,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explains 78.38% of variation so that the composite sentiment index was calculated using the eigenvector of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As the housing market is divided into two separate markets; the space market and the asset market based on “Space and Capital Market Theory” suggested by DiPasquale and Wheaton, two Vector Auto-regression(VAR) models were constructed. The main outcomes are as follows. In response to one standard deviation shock in the composite sentiment index, the rent index and housing stock were not influenced and vise versa. Unlike, both the housing price and supply were positively influenced for a while, in response to the same shock. And the composite sentiment index was negatively affected in response to one standard deviation shock in the housing price. In short, the composite sentiment index is significantly related to housing market variables, thus the index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sset market variables in the housing market.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주택시장의 체감지표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주택시장의 합성체감지표를 산출하기 위해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 토지시장 소비심리지수의 상관행렬을 주성분 분석에 적용한 결과 첫 번째 주성분이 전체 데이터 변동의 약 78.38%를 설명하고 있어, 첫 번째 주성분의 고윳값에 해당하는 고유벡터의 성분을 이용하여 합성체감지표를 산출하였다. DiPasquale- Wheaton(1992)의 이론적 설명에 따라 주택시장 변수를 공간시장과 자산시장으로 구분한 두 모형에 합성체감지표를 추가하여 벡터자기회귀 모형을 구축하였다. 충격반응함수의 분석 결과 공간시장 모형의 경우 합성체감지표 순환변동분의 충격에 대해 임대료 지수와 아파트 재고의 순환변동분은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으며, 임대료 지수와 아파트 재고의 순환변동분 충격에 합성체감지표 순환변동분의 반응도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다르게 자산시장의 경우 합성체감지표 순환변동분의 충격은 매매가격지수 및 주택인허가실적 순환변동분에 일부 양(+)의 영향을 미쳤으며, 매매가격지수 순환변동분의 충격에 합성체감지표 순환변동분은 시차를 두고 음(-)의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주택시장 체감지표는 주택시장 변수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자산시장과 연관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