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

応答表現「はい、そうです」をめぐって ― 肯定の応答「はい」との比較から ―

원문정보

On the Response Expression Hai Soudesu ─ Comparisons with the Positive Response Hai ─

張希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st Hai Soudesu is considered to be a basic expression used to respond to a query positively, it is subject to various constrains. For instance, the expression is legitimately used only when the preceding sentence involves a nominal predicate or the modality marker no-da. Even though these syntactic conditions are met, however, there are still cases where the use of the expression is inappropriate. This point has not been thoroughly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In the present article, we aim to reveal conditions on the use of Hai Soudesu that follows a typical interrogative sentence.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involving the expression from contemporary Japanese novels, and analyzed the data by comparing those sentences with Hai Soudesu with those sentences without the expression. Our survey confirmed the claim made in previous works that Hai Soudesu appears as a continuing utterance of the preceding sentence with a nominal predicate or the modality marker no-da. The survey also reveals that Hai Soudesu is not always used appropriately even when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That is, Hai Soudesu can be used appropriately when the preceding sentence with a nominal predicate or the modality marker no-da questions an essential property or it questions a law-like relation such as a cause-result relation in context; the expression, however, cannot be used when the preceding sentence questions a temporary phenomenon.

한국어

응답표현인 ‘はい、そうです’는 매우 기본적인 긍정의 응답표현이지만, 선행연구에 의해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제약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으로 되어있어도 ‘はい、そうです’라고 대답할 수 없는 용례가 있어 ‘はい、そうです’에 관한 연구가 아직 충분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고는 ‘はい、そうです’로 대답할 수 있는 선행문의 조건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형적인 질문문에서의 긍정의 응답 ‘はい、そうです’의 사용조건을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해 현대소설에서 긍정의 응답표현이 사용된 용례를 수집하여 우선 이를 전형적인 질문문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질문문에서 ‘はい、そうです’가 사용되지 않은 용례와 ‘はい、そうです’가 사용된 용례로 나누어 각각을 비교하여 ‘はい、そうです’의 사용조건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はい、そうです’는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인 경우와 のだ문인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명사술어문과 のだ문이 항상적인 특성을 묻는 경우에는 ‘はい、そうです’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시적인 현상을 묻는 경우에는 ‘はい、そうです’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과 상대방의 발화로 질문자가 원인과 결과의 관계와 같은 법칙적인 관계를 판단하여 확인하는 경우에는 ‘はい、そうです’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

「はい、そうです」は基礎的な肯定の応答表現でありながら、先行文が名詞述語文かノダ文になっている場合にしか使用できないという制約があると言われている。しかし、先行文が名詞述語文やノダ文になっていても「はい、そうです」と答えられない用例があり、先行研究でもこれらの用例については十分な考察が行われていない。 そこで本研究は、典型的な質問文における肯定の応答「はい、そうです」の使用条件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そのため、現代小説の中から肯定の応答表現が使用されている用例を集め、「はい、そうです」が使用されていない用例と「はい、そうです」が使用されている用例を比較することで「はい、そうです」の使用条件を調べた。 調査の結果、先行研究で指摘されているように「はい、そうです」は先行文が名詞述語文になっている場合と先行文がノダ文になっている場合に使用され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た。しかし、名詞述語文とノダ文が、恒常的な特徴を述べている場合や文脈の中から原因・結果の関係のような法則的な<むすびつき>による話し手の判断を確かめる場合には「はい、そうです」が使用できるが、一時的現象をたずねる場合や法則的な<むすびつき>による話し手の判断ではない場合には「はい、そうです」が使用できないことが分かった。

목차

<要旨>
 Ⅰ. はじめに
 Ⅱ. 先行研究
 Ⅲ. 本稿の立場および調査方法
 Ⅳ. 「はい、そうです」の使用条件
 Ⅴ. おわりに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張希朱 장희주. 고려대학교 BK21+아시아에듀허브사업단 연구교수, 일본어교육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