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文學]

근대 한・일 자국문학사와 한문학 인식 ― 하가 야이치와 김태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Modern of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and the Perceptions of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 Focused on Yaichi-Haga and Kim Tae-jun ─

류정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hich have shared the cultural sphere of East Asia where Chinese characters are used, have supported the ideas of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respectively. The concept of independent national literature, which was formed along with modernization, was develop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and ethnic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position of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an ancient cultural power,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 and Japan and establishment of the history of their independent national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also looked at general perceptions of that time about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focusing on Yaichi Haga of Japan, who first wrote the history of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Kim Tae-jun of Korea.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ad different kinds of writers and cultural climates, so they had different literary forms or contents, and ideas of Confucianism. With modernization of Japan, Japanese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as separated and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In this situation,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by Yaichi Haga was aimed at reflecting on the rejection of Japanese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re-establishing the importance of this literature. In contrast,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by Kim Tae-jun brought to the surface the negative opinions about this literature, leaving a fault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but it contained a nationalistic idea that placed the highest priority on the national spirit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hese different perceptions shown by Yaichi Haga and Kim Tae-jun about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an be said to be one aspect of the formation of a nation-state reflecting academic nationalism called national literature.

한국어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을 공유해온 한국과 일본의 한문학은 각국의 국문학 사상을 지탱해 왔고, 근대화와 함께 생성된 자국문학의 개념은 ‘국민・민족문학’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전개되었다. 본 고찰에서는 한・일 근대화와 자국문학사 구축 과정에 있어 고대 문화권력이었던 한문학의 위치, 그리고 최초로 ‘한문학사’를 저술한 일본의 하가 야이치와 한국의 김태준을 중심으로 당시 한문학에 대한 보편적 의식을 살펴보았다. 한・일 한문학은 그 담당층과 문화적 풍토가 달랐기에 문학의 형태나 내용, 그리고 유교사상에 대한 인식도 달랐다. 또한 근대화와 더불어 한문학이 자국문학사의 범위에서 소외되고 배제되는 상황에서 하가 야이치의 『일본한문학사』는 국학이 한학을 극도로 배척한 풍조에 대한 반성과 한문학의 중요성을 재정립시키기 위한 작업이었다. 이에 반해 김태준의 『조선한문학사』는 한문학의 부정론을 표면화시켜 국문학 연구에 과오를 남겼지만, 국가와 민족의 주권이 빼앗긴 일제강점기 시대에 민족의 혼을 최우선시하는 ‘민족의식’이 표명된 작업이었다. 이처럼 근대화 이후 동아시아 문화의 중핵을 이루어 온 한문학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국문학이라는 학문적 내셔널리즘이 반영된 국민국가 형성의 한 일면으로 표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어

東アジア漢字文化圏を共有してきた中国の漢文学は、韓国と日本の国文学の思想を支えてきた。近代化とともに生成された自国文学の概念は、国民文学・民族文学の枠の中で展開されていった。本考察では、韓・日の近代化と自国文学史の構築過程において古代の文化権力であった漢文学の位置、そして最初に漢文学史を著述した日本の芳賀矢一と韓国の金台俊(キム・テジュン)を中心に、近代当時において普遍化された漢文学に対する意識について論じてみた。韓・日漢文学は、それぞれその漢文学の擔當層や文化的な風土の差異により、漢文学の発達形式や内容、そして儒教思想に対する認識も異なった。また、近代化とともに西洋文学の影響に基づき、漢文学が疎外され、自国文学史の範囲から排除されていた状況で、芳賀矢一の『日本漢文学史』は、国学の漢学排斥の風潮に対する反省と漢文学の重要性を再確立させるための作業であった。これに対して、金台俊(キム・テジュン)の『朝鮮漢文学史』は、漢文学に対する否定論を表面化させ、国文学の研究における過ちを残したが、国と民族の主権が奪われた日本植民地時代に民族の魂を最優先視した民族意識が表明された作業であった。このような芳賀矢一と金台俊(キム・テジュン)の漢文学に対する認識の差は、国文学という学問的ナショナリズムが反映された国民国家の形成のある一面であると言えよう。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일본 자국문학사와 한문학 인식
  1. 일본 자국문학사와 하가 야이치의『일본한문학사』
  2. 하가 야이치의 『일본한문학사』 서술양상과 특징
 Ⅲ. 한국 자국문학사와 한문학 인식
  1. 한국 자국문학사와 김태준의 『조선한문학사』
  2. 김태준의 『조선한문학사』 서술양상과 특징
 Ⅳ. 한・일 ‘민족・국민문학’과 한문학
 Ⅴ.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류정선 Jung-sun Ryu.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운항과 부교수, 일본고전문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