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文學]

근대 초기 이중언어(二重言語) 표기와 일선어 저술 ― 현공렴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Early Modern Bilingual Notation and the works in Japanese and Korean - Focus on Hyun Gongryeom’s writings

노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ed at arranging the aspects of double language writing used in ‘Hyun Gongryeom’works, 『Ileotongpyeon』 and 『Ilseondamhwa』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Firstly, in 『Ileotongpyeon』 and 『Ilseondamhwa』, Japanese text was arranged combined with Chinese characters and Gatakana, next, Joseon Eomun in pure Korean was arranged. 『Ileotongpyeon』 mainly had Hurigana as Gatakana on the right side of Chinese characters in Japanese text, and accessory Chinese characters were attached to some Chinese characters in Joseon Eomun. The cases of attaching accessory characters both to Japanese language and Joseon language as in 『Ileotongpyeon』 is hardly discovered in the other publications. In 『Ilseondamhwa』, Hurigana is attached as Gatakana only to the Chinese characters in Japanese text. There’s a difference from 『Ileotongpyeon』, since the arrange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Joseon language was in one to one. The reason why the dual language writing method of these two books does not coincide is, because the use of the two books was different. If 『Ilseondamhwa』 was a reading textbook for Joseon people, 『Ileotongpyeon』 was devised as the language study book both for Joseon people and Japanese people.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modification in dual language writing method along with the readers and the use was made even in the same writer’s boo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Ileotongpyeon』 are, first, it selected the materials that might draw the interest of readers as many as possible. Second, it has lots of suggestive subjects. Third, it has a feature of enlightenment. All of the works included in 『Ilseondamhwa』treated the materials that might draw attention of the readers of that period. However, in 『Ilseondamhwa』, the writer’s critical attitude that appeared in 『Ileotongpyeon』 disappeared from the whole(前面) work. Such weakening of writer’s criticism on the reality seemed to be due to change of the situation of the period when colonization became intensified. Hyun Gongryeom selected a fresh and interesting articles and delivered them to the readers in a new method, dual language writing. He tried language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through dual language writing method of Ilseoneo writing, and intended cultural exchange with foreign countries including Japan, through the contents of the books written in dual language. This is the point why his Ilseoneo books have the significance in the value of cultural history beyond mere language study books. Dual language writing of Ilseoneo books such as 『Ileotongpyeon』 and 『Ilseondamhwa』 implies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use of language and the period that created the language, cul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context.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근대 초기 현공렴의 저작물에 사용된 이중언어 표기의 양상을 정리하고, 그 특질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현공렴의 일선어 저술들에는 두 언어의 병립과 교류에 대한 생각이 담겨 있다. 그는 하나의 저술 속에 두 가지 언어를 어떠한 방식으로 담아낼 것인가에 대해 고민했고, 그 결과 내놓은 것이 『일어통편』과 『일선담화』 등이었다. 『일어통편』과 『일선담화』에서는 먼저 한자와 가타카나를 혼용한 일본어문을 배치하고 그 다음에는 순국문으로 된 조선어문을 배열했다. 『일어통편』은 일본어문의 한자 오른편에는 주로 가타카나로 후리가나가 달려있고 조선어문의 일부 한자어에는 부속한자를 달았다. 『일어통편』과 같이 일본어와 조선어에 모두 부속활자를 붙인 사례는 당시의 다른 출판물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일선담화』는 일본어문의 한자에만 가타카나로 후리가나가 달려있다. 일본어와 조선어의 배열도 일대일 대응이 아니어서 『일어통편』과는 차이가 있다. 이 두 저술의 이중어 표기 방식이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결국 두 책의 용도가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일선담화』가 조선인을 위한 강독 교재였다면, 『일어통편』은 조선인과 일본인 모두를 위한 어학 교재로 고안된 것이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저자의 저술에서도 독자와 용도에 따른 이중어 표기 방식의 변이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공렴은 『일어통편』에서 ‘회화’를 대화체 문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장을 포괄하는 읽을거리 전반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했다. 『일어통편』의 본문 문장에는 현공렴의 생각과 저술의 의도가 명백하게 담겨 있다. 그는 독자들에게 어학 지식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흥미를 자극하고 지식욕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읽을거리를 제공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일어통편』의 내용상 특징으로는 첫째, 최대한 독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소재를 선별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두 번째 특징은 시사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계몽성을 지니고 있는 점이다. 『일선담화』에 실린 작품들도 모두 당시 독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다만, 『일선담화』에서는 『일어통편』에서 보이던 작자의 비판적 태도가 작품 전면(前面)에서 사라진다. 이러한 저자의 현실에 대한 비판성의 약화는 식민지화가 심화되는 시대상황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현공렴은 신선하고 흥미로운 기사를 선택해 이를 이중언어 표기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독자들에게 전달했다. 그는 일선어 저술의 이중어 표기 방식을 통해 조선과 일본의 언어 교류를 시도했고, 이중언어로 표기된 저술의 내용들을 통해서는 조선과 일본을 비롯한 외국과의 문화적 교류를 시도했다. 그의 일선어 저술들이 단순히 어학교재로서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문화사적 가치를 지닌 저작물들로 받아들여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일어통편』과 『일선담화』 등 일선어 저작물의 이중언어 표기는 언어의 사용이 그것을 낳은 시대와 문화적 환경, 그리고 역사적 맥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새삼 일깨워준다.

일본어

本稿は、韓国近代初期における玄公廉の著作『日語通編』、『日鮮談話』に用いられた二重言語表記の様相を整理し、その特質と意味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日語通編』と『日鮮談話』の表記は、日本語文と朝鮮語文の併記という点では共通しているが、文章の配置や振り仮名の振り方において差が存する。そうした差は『日語通編』と『日鮮談話』の用途の相違に起因するものである。『日鮮談話』が朝鮮人のための講読教材だとすれば、『日語通編』は朝鮮人と日本人、両方を読者として想定し語学教材として作られたものである。 『日語通編』の内容面での特徴としては、まず、最大限読者が興味を持てるような素材を選別したという点が挙げられる。ほかに、時事性が強く、啓蒙的性格を持っている点も指摘できよう。『日鮮談話』は『日語通編』と同様に読者が興味を持てるような素材を扱っているが、『日語通編』に表れていた作者の批判的な態度が作品から消える。このような変化は植民地化が進む時代状況の変化に因るものと考えられる。玄公廉は新鮮かつ興味深い素材を選び、それを二重言語表記という新しい方式で読者に伝えようとした。また、二重言語表記を通して朝鮮と日本の言語交流や日本をはじめ諸外国との文化的交流を試みた。玄公廉の日鮮語著述は単なる語学教材としてではなく、新たな文化史的価値を持つ著作物として認められるべきであろう。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이중언어 표기의 방식과 특징
  1. 『정선 일어통편』
  2. 『일선담화』
 Ⅲ. 내용과 의미
  1. 『정선 일어통편』
  2. 『일선담화』
 Ⅳ.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노혜경 Hyekyoung Noh. 연세대학교 인문예술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일본문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