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文學]

能因と公任の相互認識 ― 関連説話と『玄々集』の公任詠を中心に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utual percpective between Noin and Kinto ─ Focusing on a related story and Kinto’s poem from <Gengenshu> ─

厳教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in was a poet in the middle of the Heian era, under Fujiwarano Kinto’s rule. Those two contemporary figures might have known each other, I suspect, and therefore, I’m about to investigate how they’d thought of each other based on a relative story and Kinto’s poem from . This work will help to understand the whole of . Firstly I examined , a book of Japanese poem, focusing on that Noin has criticized poem. This criticism essentially seems to be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Noin and Kinto, though, at first sight, it refers to the pros and cons of poem. Secondly I examined that Kinto has highly appreciated on poem in a story and his theoretical work presented his book . It seems that Noin’s poem was not suitable for Kinto’s theory, and therefore Kinto didn’t consider Noin as a great poet. Then I examined Kinto’s poem in . Six of his work are contained and this number is the third priority amongst the poets introduced in this book. This clearly reveals that Noin had highly appreciated Kinto as a poet.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in regards to Kinto’s work in , he didn’t utilize technique over all of six and none of his original manner reveals. He might had referred to precede examples. Noin gave credit for Kinto’s Job in this manner. However, Noin had chosen none of Kinto’s work affected Tsurayuki on a certain unkown purpose. This is worthwhile to examine as a further study, because what Noin had wanted through would be revealed from the standard he employed.

한국어

노인이 활동했던 헤이안시대 중기는, 칙찬집공백기로 불렸으며, 당시 가단의 권위로 군림하던 것은 후지와라노킨토였다. 동시기에 활동한 두 사람 사이에는 접점이 적지 않았으리라 생각되는데, 『겐겐슈』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위한 전단계로, 관련설화와『겐겐슈』에 뽑힌 킨토영에서, 두 사람이 서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를 생각해 보았다. 먼저, 가학서 『후쿠로조시』에서 킨토가 노인의 우타를 비판한 설화를 고찰한 결과, 그 비판은 우타의 좋고 나쁨과도 관련이 있지만, 그 전에 킨토와 노인간의 인간관계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동시에, 설화에서 킨토가 칭찬한 우타와, 킨토가 저술한 가학서 『신센즈이노』에 자신이 펼친 가론에 비추어 본 결과, 노인의 우타는 킨토가 내세운 이론에는 어울리지 않는 영법이었다 생각되며, 킨토는 노인을 가인으로서 그렇게 높게 평가하지 않았을 것이라 추정된다. 이어서, 『겐겐슈』에 수록된 킨토의 우타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우선, 여섯수가 수록되어, 가수 상으로 3위에 해당한다는 사실은, 노인이 가인으로서의 킨토를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여섯수의 우타의 표현에 대해 살펴보면, 전부 기교를 거의 부리지 않은, 담담한 어조의 우타들이며, 앞선 용례들을 확실히 참고하여 기이하고 기발한 표현은 찾아볼 수 없다. 노인은 이러한 우타에서 킨토의 장점을 인정한 것이다. 다만, 쯔라유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킨토의 우타를 선정함에 있어, 의도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그러한 우타를 전혀 뽑지 않았다는 사실에는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 점은 노인이 『겐겐슈』를 통해 어떤 가풍을 나타내고자 했는지와도 관련 있으리라 여겨지기에, 이후의 과제로 하고자 한다.

일본어

能因が活動した平安時代中期は、勅撰集空白期と言われ、当時の歌壇の権威として君臨していたのは藤原公任である。同時期に活動した二人の間では少なからず接点があったかと思われるが、『玄々集』の全体像を捉えるための全段階として、関連説話や『玄々集』所収の公任詠から、二人が互いをどのように認識していたのかを考えてみた。 まず、歌学書である『袋草紙』から公任が能因の歌を批判した説話を考察した結果、その批判には歌の良し悪しも関わるが、それ以前に人間関係も強く働い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同時に、説話で公任が賞讃した歌と公任自身が歌学書である『新撰髄脳』に記した歌論に照らし合わせて考えた結果、能因の歌は公任が打ち出した理論にはそぐわない詠法であったと思われ、公任は能因を歌人としてさほど高く評価しなかったのではないかという結論を得た。 続いて、『玄々集』所収の公任詠について考察した。まず、六首で入集歌数において三位であることは、能因が歌人としての公任を高く評価していたことは確かである。六首それぞれの表現についてみると、全て技巧がほとんどない平淡・平明な調べの歌であり、前例をよく踏まえていて奇抜かつ突飛な表現は全くない。能因はそのようなところに公任詠の良さがあると認めたのである。ただし、貫之の影響が顕著な公任の歌を撰ぶにあたって、意図したかどうかは定かではないが、その影響が認められる歌は全く取っていないことは注目すべきである。この点、能因が『玄々集』に庶幾した歌風とも関わるかと思われるが、今後の課題にしたい。

목차

<要旨>
 Ⅰ. はじめに
 Ⅱ. 能因と公任の関連説話
 Ⅲ. 公任の秀歌意識
 Ⅳ. 『玄々集』の公任の入集歌
 Ⅴ. おわりに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厳教欽 엄교흠. 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大学院研究生、平安時代文学専攻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