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치경찰시대의 치안 관련 위기관리 방안

원문정보

The Crisis Management Systems in the Era of Municipal Police

이임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ecentralization Committee of the Blue house(Cheongwadae) is planning to put out a plan for a municipal police system soon and conduct its pilot operation in 2020. order for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to become more stable, it is necessary to have a system that can cope with the municipal police force in a national or wide-scale crisis situation and overcome it. As a result of the crisis in modern times, which can not be solved only by the national police organization, the new centralization is emerging in the American and European police, which have developed autonomous police and have been decentralized much. Mexico where Cartel(gangs) are fighting against the armed forces of the military and the police is running a single command system (Mando Unico). should also study and prepare the system for crisis management in order to minimize the trial-and-error and ensure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which reflects the citizens' citizenship.

한국어

청와대 지방분권위원회는 광역자치경찰제도에 관한 방안을 곧 내놓고 시범운영 을 거쳐 2020년에는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하고 있다. 자치경찰제도가 더욱더 안착되려면, 전국적 또는 광역적 위기상황에서 자치경 찰력을 잘 활용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국가경찰조직만 으로 해결할 수 없는 일이 많아지는 현대의 위기상황으로 인해 자치경찰이 발달하 고 지방분권화가 많이 진행된 미주 및 유럽경찰에서도 신중앙집권화가 나타나고 있다. 멕시코 등 까르뗄(Cartel, 갱단) 등 군 및 경찰력의 무장에 맞서는 조직들이 나타나고 있는 곳에서도 단일지휘체계(Mando Unico)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며 시민들의 민의가 잘 반영되는 자치경찰제도 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 위기관리를 위한 체계를 더욱 세밀히 연구하고 준비하여 나가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자치경찰제도 도입 관련 위기관리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임걸 Imgeol LEE. 중앙경찰학교 학생과장(총경), 경찰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