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Genre Analysis of Abstracts in Academic Journals - Focusing on abstracts of The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eative Writing
초록
영어
Abstract is a summary of an academic thesis and is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sis. It functions as a screening device and contributes to readers’ general understanding about the whole text. Accordingly, in this flood age of information, the significance of abstract is outstandingly strengthened. Nevertheless,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abstracts have been focusing merely on those of doctors’ theses. Now, seemingly it is time for abstracts in the academic journals to be analyzed since thes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doctors’ theses due to its text size. Thus,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abstracts of “The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eative Writing(한국문예창작)” in perspective of genre analysis. The reason why genre analysis was introduced are because it is greatly effective not only in discovering inner structures of the genre text itself but also in comparing variations according to academic filed by means of “move” and its subordinate “stage”. Consequently, main moves of abstracts in “The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eative Writing” were analyzed as “purpose — (subject) — contents — (conclusion) — (self-critique)” In peculiar, “subject move” and “conclusion move” are so unique in that in abstracts of other academic fields, these moves seldom appear as main ones. Text producers’ preferred encoding way, i.e, critique and emphasizing of literature text itself seem to be reflected as this phenomenon. On the contrary, research methods that were uttered as one of the main moves in previous studies could hardly be found in abstracts of “The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eative Writing”.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academic tendency of literary creative studies stressing on literature text did not force relatively the text producer to mention his metho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all be expected to become the first step to examine variations of abstracts in the academic journals of varying fields.
한국어
초록은 학술논문에서 반드시 나타나는 학술논문의 필수 구성요소 중의 하 나로 원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여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 의 홍수 시대에는 정확하고 신뢰 있는 정보를 빠른 시간 안에 검색하고 이 해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초록은 원 논문에 대한 요약본이기에 원 논문을 읽 을 것인지 판단하는 심사도구적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원 논문에 대한 개 략적인 이해까지 가능하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그 장르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초록은 학위논문의 초록이 가진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는 것 위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학위논문 초록보다 는 오히려 학술지 초록의 쓰임이 훨씬 광범위하고 텍스트 분량의 차이로 인해 학위논문과 변별되는 특징이 있을 것이기에 학술지 초록 자체에 대한 독 자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또한 초록 자체가 특정 학문분야를 배경으로 하는 만큼 학문분야라는 매개변인에 따른 변이형의 범위가 크다는 점 역시 분석 시에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곧, 향후 초록에 대한 연구는 특정 학문분야를 바탕으로 한 학술지의 초록분석과 이들 학문 분야별 초록에 대한 메타적 비교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일의 문예창작 관련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인 『한국문예창작』에 게재된 최근 3년간 논문을 장르분석적(genre-analytical) 관 점에서 분석하였다. 장르분석 방법을 도입한 이유는 일종의 소주제별 언어 단위인 ‘주요 이동마디(move)’와 그 배열순서에 입각한 분석방식으로 인해, 문예창작 초록 텍스트의 내적 구조뿐만 아니라 향후 다른 학문분야 초록과 의 비교에서도 이들을 분석틀로 삼아 효과적인 분석이 가능하리라 생각되 었기 때문이다. 장르분석을 통해 『한국문예창작』의 초록은 “연구목적-연구대상-연구내 용-결론-자평”이라는 주요 이동마디와 선호적인 배열 순서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가운데 ‘연구대상’과 ‘자평’ 이동마디의 경우, 다른 학문분 야의 초록에서는 주요 이동마디로 지적되지 않았던 문예창작학 초록의 독 특한 현상이었다. 이는 문학작품을 텍스트 조건으로 삼는 학문의 본질적 환 경으로 인해 연구대상에 대한 초점화가 다른 학문에 비해 비중 있게 이루어 진 것이라 보았다. 또한 ‘자평’ 이동마디는 문예창작학이 함축하고 있는 비 평적 속성이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반면에 선행연구들에서 초록의 주요 이 동마디로 분석되었던 ‘연구방법’의 경우, 문예창작학 논문초록에서는 매우 미약한 양상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연구방법론보다 연구대상 자체에 주안점 을 두는 학문적 풍토를 확인할 수 있었던 것으로, 통계처리 등의 양적 연구 방법보다 질적 분석이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한편 ‘연구목적’ 이동마디와 ‘연구내용’ 이동마디의 경우, 모든 초록에서 거의 예외 없이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초록의 언어적 특성이 바로 ‘명시성’ 임을 알 수 있었다. 곧 창작목적을 텍스트 상에서 의도적으로 가리는 문학장 르나 텍스트 생산목적을 일별하여 보이지 않는 인접 논증장르인 사설・칼럼 등과 달리, 초록은 연구목적 텍스트의 서두에서부터 텍스트 생산목적을 명확히 밝히고 그 연구내용을 열거식으로 요약하여 명시한다. 이를 통해 이어 지는 원 논문에 대한 거시적인 조감도를 독자에게 미리 제공함으로써 상당 한 난이도를 갖는 논문 텍스트에 대한 이해의 발판을 마련해 줄 뿐만 아니 라 독자가 원 논문을 읽을 때에 지속적으로 이해의 맥락을 명시된 ‘연구목 적’과 ‘연구내용’에 맞추어 방향성 있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보았다. 학문분야별 학술지 초록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장르분석적 방법에 입각하여 『한국문예창작』의 초록을 분석함으 로써 문예창작 학술지 초록의 계열 및 통합적 언어적 특성을 밝혔다는 점에 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향후 전개될 다양한 학문분야별 학술지 초록분 석과 이들 초록 간 비교대조 연구의 출발이 되었으면 한다.
목차
1. 서론
1) 연구목적 및 연구대상
2) 연구방법 및 기술순서
2. 이론적 배경
1) 초록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2) 장르분석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3. 『한국문예창작』 초록에 대한 장르분석
1) 주요 이동마디의 계열적 분석
2) 주요 이동마디의 통합적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