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형도 시에 나타난 경계(境界)의 세계 인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World Perception of the Marginality in Gi Hyeongdo’s Poetry

강연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Gi Hyeongdo’s poems from the view point of world perception of marginality. In this paper, I define Gi Hyeongdo’s ambivalent consciousness as the world perception of a marginal being`s identity. Also, I expect to be able to explain the world perception of this poet by expanding the marginal man theory. Marginal man is generally understood to be hybrid entities in a multicultural context, and the marginal man theory is also useful in explaining the world perception of the self experiencing conflict and confusion between opposing or heterogeneous domains. Gi Hyeongdo’s poems are framing the inside of those who are afraid of choice or hesitate in the boundaries of this and the other. For example, the poems of this poet show the attitude of standing at the boundaries of reality and ideals, ideologies and behaviors, hopes and despair, secrets and plazas. These paradoxical perceptions show the paradigm of a tragic world view. A tragic world view takes on a paradoxical attitude of 'positive and also negative' to the world as an attitude that human beings can think about in the contradictory two demands of the truth of the self and the falsehood of the unacceptable world. Gi Hyeongdo’s work can be read by the internal anguish of the self, hesitating at the boundary between here and there, without participating in any particular camp or claim. Why is Gi Hyeongdo’s poetry read over and over again despite his aesthetic incompleteness? It is probably due to the aesthetic modernity preoccupied by the world perception of marginality and inner anguish.

한국어

이 연구는 기형도의 시세계를 경계의 세계 인식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하 고 있다. 이는 시인의 짧은 생애와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촉발된, 신화 화에 가까운 문학외적 관심에서 벗어나 기형도의 시세계에 대한 내재적 접 근의 일환으로 비롯된 것이다. 기형도의 세계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 른바 경계인(境界人, marginal man) 이론을 확대 적용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경 계인이란 일반적으로 다중 문화 속의 혼종적 존재로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 이지만, 대립적이거나 이질적인 영역 사이에서 갈등과 혼란을 겪는 자아의 세계 인식을 설명하는 데도 유용하다. 기형도의 시들은 대체로 이와 같이 대 립적이거나 이질적인 경계에 선 자아의 세계 인식에 비추어 읽을 수 있다. 이러한 기형도의 세계 인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 바로 「입 속의 검 은 잎」이다. 이 작품은 이쪽과 저쪽의 경계에서 선택을 두려워하는 자의 내 면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형도의 시세계를 관통하는 작품으로 읽 을 수 있다. 이 작품에 형상화되어 있듯이 가령 현실과 이상, 이념과 행동, 희망과 절망, 밀실과 광장 등의 경계에서 서성거리는 태도를 보여주는, 경계 의 세계 인식은 기형도 시세계를 지탱한다. 이러한 태도에 비추어 보면 기 형도 시에서 빈번하게 ‘희망’이라는 시어가 나타나면서도 그것이 그리 낙관 적이지 못하며, 오히려 포기나 체념의 반어로 읽히는 연유도 짐작할 수 있 다. 그리고 이러한 역설적 인식은 비극적 사고와 세계 인식의 전형을 보여 준다. 기형도의 시는 특정의 진영이나 주장에 몸담기보다는 이쪽과 저쪽의 경계에 서서 서성거리거나 머뭇거리는 자아의 내적 고뇌로 읽을 수 있다. 기형도의 시가 미학적으로 미완이면서도 끝없이 다시 읽히는 이유는 그 경 계에서의 내적 고뇌가 시대를 초월하여 절실한 공감의 정서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2. 입 속의 검은 침묵
 3. 경계(境界)의 세계 인식
 4. ‘두려움’의 연원과 귀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연호 Kang Yeonho. 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