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阿彌陀極樂淨土 圖像의 성립과 조로아스터교에 관한 一考

원문정보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Images of the Amitabha's Pure Land of Bliss and Zoroastrianism

아미타극락정토 도상의 성립과 조로아스터교에 관한 일고

조성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images of the Amitabha's Pure Land of Bliss, which have been a crucial aspect of East Asian Buddhist paintings. The Pure Land of Bliss presided by Amitabha Buddha is believed to contain a palace lavishly decorated with pure, beautiful jewels, a pond equally decorated with precious gems, and habitats of beautiful lotus blossoms and birds. The concept of the Buddhist utopia ruled by Amitabha was established after the popularity of the Pure Land ideologies across East Asian Buddhist communities and based on the three principal Pure Land sutras: the Larger Sutra on Amitayus, the Sutra on Contemplation of Amitayus, and the Smaller Sutra on Amitayus. In addition to the three Amitabha sutras, new Buddhist images were introduced to China during the early phase of the Tang Dynasty (618~907),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their final version during the middle phase of the dynasty. The main discussion i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mages whose origin is not traceable in the three principal Amitabha sutras, connecting them with the Zoroastrian beliefs of the afterlife, and the art of the Sogdians who transmitted the Zoroastrian heritage to Central Asia and China. The discussion concludes that the Zoroastrian bridge of judgement called Chinvat, the bird of human soul called Karshipta, and the Sogdians’ "whirling dance" introduced to Tang influenced the paintings of the Amitabha's Pure Land of Bliss. In other words, the "northern customs", including the Zoroastrian ideas of the afterlife, were transmitted to the Chinese inland by the Sogdians and were adopted by the worshippers of the Amitabha's Pure Land. Furthermore, they continued to develop until they achieved their final forms before arriving in Korea during the middle Tang period.

한국어

본 연구는 동아시아불교회화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미타극락정토도의 도상 구성에 관한 것이다. 아미타여래가 住處하는 극락세계는 청정하고 아름다운 보배로 장식한 궁전과 보석 연못이 있으며, 이곳에 아름다운 연꽃과 새가 정토를 장식한다고 알고 있다. 이러한 극락의 개념은 정토사상의 유행으로 정토세계를 현실의 공간에 묘사하여 아미타여래와 그 세계를 친견하게 되었는데, 아미타삼부경이라고 칭하는 󰡔佛說觀無量壽經󰡕, 󰡔佛說無量壽經󰡕, 󰡔佛說阿彌陀經󰡕을 소의경전으로 하였다고 알고 있다. 그런데 경전에 서술된 내용 이외에 唐代부터 새로운 도상이 첨가되어, 盛唐에 이르러서 오늘날과 같은 화면구성을 갖추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아미타삼부경에서 찾을 수 없는 도상의 기원을 조로아스터교의 사후관과 이를 중앙아시아와 중국에 전달시킨 매개체인 소그드인들의 미술에서 찾고자 하였다. 본문에서는 기원전 6세기 경에 성립된 고대 페르시아의 종교인 조로아스터교의 사후세계에 등장하는 심판의 다리인 ‘친왓드’와 水鳥 ‘카르십타’(Karshipta), 호선무를 추는 소그드인 등이 唐代에 유행한 胡風의 영향으로 아미타극락정토에 차용되었다고 보았다. 즉 소그드인들에 의해서 중국내륙에 전달된 조로아스터교의 극락도상이 아미타극락정토도에 차용되었으며, 盛唐 이후 정형화되어 한국과 중국 불화에 전해져 내려온다고 추정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阿彌陀極樂淨土의 전개
 Ⅲ. 조로아스터교의 死後觀念
 Ⅳ. 극락도상의 차용과 변용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성금 Cho, Sungkum. 한국예술종합학교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