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현대 畵僧 일섭 佛畵의 신도상과 표현기법 - 송광사성보박물관 소장 <제존집회도>와 <치성광여래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On the images of deities and painting techniques found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monk-painter Ilseop in the modern period

근현대 화승 일섭 불화의 신도상과 표현기법 - 송광사성보박물관 소장 <제존집회도>와 <치성광여래도>를 중심으로 -

최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pon viewing Buddhist paintings made by Ilseop, one finds the underdrawing clearly differentiated from paintings by other monk-painters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 1910). His works exhibit the skillful use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aintings entitled the Assembly of Deities(諸尊集會圖) and Tejaprabha(熾盛光如來圖) that he produced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which are currently kept at the Songgwangsa Museum. Though there have been studies on Ilseop and his Buddhist paintings, and various theses have dealt with his paintings, the two works mentioned above remain little known despite their importance and have never been dealt with in detail. As such, this study attempts to sheds light on them in detail and review Ilseop’s capabilities and activities as a painter. The paintings of the Assembly of Deities and Tejaprabha are important paintings as they depict unique-looking, pan-religious and multi-national figures using Western painting and engraving techniques. The diverse techniques and images displayed by the pieces and the content of his work diary reveal that he took a deep interest in not only Buddhist fine arts, but also Western paintings, sculptures, and designs, and even the trend of academic learning and arts of his time. It is interesting to see how he and Kim Bok-jin, who competed with him at the time of bidding for the commission to produce the main Maitreya Buddha of Geumsansa Temple in Gimje, influenced each other. His two paintings are among his most representative works as they exhibit his artistic skills, his interest, his perspectives as an artist, and his view of the period in which he lived.

한국어

현전하는 일섭의 불화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전통적인 조선시대의 불화들과 차별성을 가지는 밑그림이 눈에 띠며, 능숙한 서양화법을 두드러지게 사용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본 글에서는 근현대기의 화승 일섭의 불화 중 송광사성보박물관에 소장된 <제존집회도>와 <치성광여래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그간 일섭과 그의 불교미술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있었고 근현대 불교미술을 다룬 논문들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지기도 하였으나, 이 두 작품은 그 중요도에 비해 덜 알려지고 상세히 다루어진 적이 없어 이번 기회를 빌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불화를 제작할 수 있었던 일섭의 다양한 활동영역과 기량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존집회도>와 <치성광여래도>는 각기 범종교적 존상과 다국적 인물표현을 비롯한 독특한 도상들과 전반적으로 사용된 서양화법은 물론 판화기법까지 도상과 기법에 있어 매우 특이점을 가지고 있는 불화로 그 시기성과 예술적 가치로 보아 의미 깊은 불화들이다. 이 작품들에서 보이는 다양한 기법과 도상, 그리고 그가 남긴 그의 작업일지적 성격의 『연보』의 내용을 통해 그가 불교미술 뿐 아니라 서양화와 조각, 디자인 등 다른 분야의 미술은 물론 당시 학문과 예술의 조류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김제 금산사 미륵본존의 공모입찰 때 함께 응모했던 김복진과의 영향관계도 엿보여 흥미롭다. 일섭의 <제존집회도>와 <치성광여래도>는 시대적 상황은 물론 그의 다양한 관심사와 예술관, 그리고 그것을 잘 녹여낸 그의 뛰어난 예술적 기량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제존집회도>의 범종교적 도상과 서양화법
 Ⅲ. <치성광여래도>의 다국적 인물구성과 판화기법
 Ⅳ. 일섭의 다양한 활동영역과 예술적 소양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엽 Choi, Yeob.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