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槐園 李埈의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GoeWon(槐園) Lee, Jun(李埈)'s <Danyangsipgyeongchamuidogaun(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

괴원 이준의 <단양십경차무이도가운>에 대한 고찰

이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oeWon(槐園) Lee, Jun(李埈,1812~1853)'s had composed in 1850. The author, I have confirmed until now, Danyangpalgyeonggye Chinese poem(丹陽八景系 漢詩), that is to say, this Lee, Jun's poem(詩) has to see as unique and the most advance. Lee, Jun is a elder son of Lee, Hangno(李恒老 1792~1868) who had insisted on ‘Wijung Chuksa(衛正斥邪: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He had succeeded to Jonhuayangiuisik(尊華攘夷意識) and Dotonguisik(道通意識) through family study(家學), I think. He had toured at regions of Yeoju(驪州), Mokgye(牧溪), Jecheon(堤川) and Danyang(丹陽) and had visited remains and Seowon which served the Taoist scholars such as Song, Siyeol(宋時烈), Gwon, Sangha(權尙夏), Wu, Tak(禹倬), and Lee, Huang(李滉). It seems that this sense made compose poems after decision of Danyangsipgyeong(丹陽十景). Lee, Jun's title can be seen as attaching of consideration in Palgyeong(八景) and Gugok(九曲). Lee, Jun made of the 4th Gyeong(景) was Jungseonam and of the 10th Gyeong(景) was Yeokdong Seowon among the Danyangsipgyeong(丹陽十景). The 4th Gyeong(景) Jungseonam had named by Gwon, Sangha, he did not arranged the Palgyeong(八景). The 10th Gyeong(景) is Yeokdong Seowon which served Yeokdong Wu, Tak. Lee, Jun had selected 10 Gyeong(景) with centering of a famous sight and remains related in Taoism(道學). Other poets composed poems about Lee, Jun's Danyangsipgyeong(丹陽十景)including existing famous sights which were almost described figuratively the natural famous sights beauty. By the way Lee, Jun had quoted the term which included Confucianism Scriptures(儒學經典) or the contents of related Gyeong(景) Configuration and Gyeong(景) name almost, as he had described the real sceneries about 10 each Gyeong(景). As we generalize the above contents almost, we can think that the reason of Lee, Jun had composedwas in order to be consolidative the Taoism sense, and to inspire and enhance the sense for the readers. In a quatrain with seven characters to line like short poem which expressed the contents that described figuratively, and the beauty of arts is favorable side. This point can be given the Palgyeonggye(八景系) literary meaning as the feature of Lee, Jun(李埈)'s.

한국어

槐園 李埈(1812~1853)은 1850년에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을 지었다. 필자가 현재까지 확인한 바, 丹陽八景系 漢詩는 이준의 이 詩가 유일하며 가장 앞섰다고 보아야한다. 이준은 衛正斥邪를 주장한 李恒老(1792년~1868)의 장남이다. 그는 家學을 통해서 尊華攘夷意識과 道統意識을 계승했다고 본다. <濕遊日錄>를 읽어보면, 그는 驪州 牧溪 堤川 丹陽지방을 여행하면서 宋時烈 權尙夏 禹倬 李滉 등 도학자들을 모신 서원과 유적을 탐방했다. 이런 일련의 정황이 이준으로 하여금 단양십경을 정해 시를 짓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이준의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의 제목은 팔경과 구곡을 감안하여 붙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준은 단양십경에 제4경을 중선암, 제10경을 역동서원으로 삼았다. 제4경 중선암은 권상하가 명명했는데, 그는 팔경을 정하지는 않았다. 제 10경은 역동 우탁을 모신 역동서원이다. 이준은 道統과 관련이 있는 유적과 명승지를 중심으로 10경을 설정했다. 이준이 丹陽十景에 포함한 기존의 명승지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지은 시는, 거의 자연 명승의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묘사하였다. 그런데 이준은 10개 景에 대한 실경을 묘사하면서, 거의 그 景의 명칭과 그 景의 형상에 관련이 있는 내용이나 유학경전에 들어있는 用語를 인용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이준이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을 지은 이유는, 도학의식을 공고히 하고, 읽는 사람에게도 그런 의식을 고취앙양하기 위해서였다고 할 수 있다. 7언 절구라는 짧은 시에 그 내용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故事를 사용하여 비유적으로 묘사한 면이 있어 문예미도 양호한 편이다. 이런 점이 李埈의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은 특징이라고 그 팔경계문학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丹陽八景과 李埈의 丹陽十景
 3. 李埈의 <丹陽十景次武夷櫂歌韻>의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주 Lee, Sangju. 중원대학교 사회문화대학 한국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