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원도 북부 지방 초가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고성 왕곡마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atched Houses in Northen Region Gangwon Province - Focused on Wanggok Village, Goseong -

김윤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s traditional hanok houses are roughly divided into tiled-roofed, thatched-roofed, shingle-roofed, and oak bark-roofed houses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In thatched-roof houses, there are various style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regarding building materials, slope, shape, and tying method. Unfortunately, as the number of thatched-roof houses have been rapidly decreasing since industrializ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thes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roofing material a higher percentage of houses with thatched roofs than houses with tiled roofs. Furthermore, the plane occupies a large number of left and right protruding types and layered types, and there is no partition wall between Jeongji and maru. In addition, the opening in the front has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region that is responsible for lighting and ventilation, not for access. In the case of thatched-roof houses in Goseong Wanggok Village, the field survey suggests that a high percentage of buildings can recover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한국어

우리나라 한옥은 지붕재료에 따라 크게 와가, 초가, 너와, 굴피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초가는 지방 특색에 따라 재료, 경사, 모양, 잇기 방법이 다양하다. 그러나 산업화로 초가가 급속히 감소하여 이러한 특성을 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북부지방의 초가의 건축적 특성을 알고자 한다. 그래서 북부지방에 지정된 고성왕곡마을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 였다. 연구는 종합정비 및 지정 자료를 기반으로 현장조사, 전문가 및 주민 인터뷰를 통해 특성을 조사 분석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왕곡마을의 가옥의 지붕재료는 와가보다는 초가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평면은 좌우 돌출형과 겹집형이 다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지와 마루 사이에 칸막이벽이 없었다. 또한 전면의 개구부는 출입을 위한 것이 아닌 채광과 통풍 기능을 담당하는 북부지방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고성왕곡마을 초가는 현지조사를 통해 원형특성을 회복할 수 있는 건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조사범위 및 조사방법
 2. 민속마을 현황
  2.1 지역별 초가 고찰
  2.2 고성왕곡마을 연혁 및 현황
  2.3 고성왕곡마을 건조물 현황
 3. 고성왕곡마을 초가 현황
  3.1 초가현황
  3.2 나대지 분석을 통한 멸실 초가조사
  3.3 초가보존 등급조사
 4. 왕곡마을 초가의 분석 및 특성
  4.1 고성왕곡마을 초가의 배치
  4.2 초가의 구조 및 규모
  4.3 왕곡마을 초가의 건축 특성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윤상 Yun-Sang Kim. 전북대학교 한옥사업단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