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Advertisement Properties In Cosmetics Convergence Advertisement Using PPL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vertisement properties in PPL-used cosmetic convergence advertisemen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PPL marketing in cosmetics industry. For the purpose, this study interviewed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a questionnaire and analysed 494 copies of the responses except 6 ones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using SPSS v. 21.0.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informativeness and entertainment as sub-factors of advertisement propert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rand attitude while discomf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it. Also, informativeness and entertain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urchasing intention. Therefore, as PPL that breaks the contents and flow of dramas or movies decreases advertisement effects and purchasing intention, PPL advertisements should naturally present information on cosmetic products in dramas or movies.
한국어
본 연구는 PPL을 활용한 화장품 융합 광고의 광고속성이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 로써 화장품 업계의 PPL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6부를 제외한 494부를 SPSS v.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광고속성 의 하위요인별 정보성, 오락성은 브랜드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편성은 브랜 드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속성의 하위요인별 정보성, 오락성은 구매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드라마나 영화의 내용과 흐름을 깨뜨리는 PPL 은 소비자에게 불편성을 불러일으켜 광고 효과와 구매의도를 저하시킴으로, 드라마나 영화에서 제품 정보를 자연스럽게 제 시하고 즐거움을 주는 PPL 광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2.1 PPL을 활용한 화장품 광고
2.2 광고속성
2.3 브랜드태도
3. 연구 방법
3.1 연구모형
3.2 조사대상
3.3 조사방법
3.4 분석방법
4. 연구 결과
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 PPL을 활용한 화장품 광고의 광고속성이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5.1 PPL을 활용한 화장품 광고의 광고속성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5.2 PPL을 활용한 화장품 광고의 광고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6. 고찰
7.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