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国語大邱方言と日本語東京方言の漢字接尾辞 「的・性」のアクセント

원문정보

A contrasive study on the accentuation of Daegu Korean and Tokyo Japanese suffixes ‘jeok(teki)’ and ‘sung(sei)’

孫在賢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contrasive study on the accentuation of Korean and Japanese suffixes ‘jeok(teki)’ and ‘sung(sei)’.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Daegu Korean, the accent patterns of the suffix ‘jeok’ and ‘sung’ -cling words show a same pattern of one syllable noun. The ‘jeok’ is functioned as H(F), and ‘sung’ has the same function of the noun ‘ H(L)’, respectively. (2) In Tokyo Japanese, ‘teki’ and ‘sei’ -cling accent patterns are classified as de-accent suffixes. All words with the suffix ‘teki’ and ‘sei’ have no accent kernel.

한국어

본 연구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한자접미사 ‘的’, ‘性’의 악센트에 대해 고찰로, 한국어와 일본어 양 언어 모두 명사의 악센트는 자의적(恣意的)으로 결정된다. 본 연구는 양 언어에서 대부분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的’, ‘性’과 같은 한자접미사가 전체 단어의 악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일본어의 경우는 ‘的’, ‘性’는 전체 단어의 악센트를 무핵화(無核化、de-accented)한다. 한국어는 일본어와 달리, ‘的’, ‘性’의 한자접미사는 1음절의 단어와 같은 악센트를 갖는다.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가 드물어 한자접미사의 악센트를 알기 어렵지만, 명사와 결합한 전체 악센트를 분석함으로써 추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예를 제시한 다음, ‘的’, ‘性’은 ⓵형 악센트임을 밝혔다. 즉, 한국어의 한자접미사는 일본어와 달리 일반 명사의 1음절과 같은 성질을 가지므로 복합명사규칙에 따라 전체 악센트가 결정된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接尾辞のアクセント
  2.1 日本語東京方言のアクセント
  2.2 韓國語大邱方言のアクセント
 4. まとめ
 参考文献
 국문요지

저자정보

  • 孫在賢 손재현. 덕성여자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