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econd language contact history as observed in Japanese potential expressions of Korean returnees
초록
영어
This paper describes the linguistic features seen between the acquisition, maintenance, abrasion and loss stages of L2 Japanese in the potential expressions by Korean returne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tential expressions in the data of the discourse, compositions, and research surveys, the following features are found. (a) Regarding the use of derivative verbs, there is a tendency to agree with the standard language norm of contemporary Japanese, such as the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인귀국생의 일본어에 나타난 가능표현에서 제2언어의 습득・유지・마멸・상실 의 단계에 보이는 언어적 특징을 기술한 것이다. 조사대상자(한국인 자매 2명)의 담화, 작문 과 (번역식)조사문조사 자료에 보이는 가능표현을 분석한 결과 그 일본어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는 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a) 파생동사류의 사용에 관해서는 <五段動詞:가능동사, サ行変格動詞:デキル>라는 현대 일본어의 표준어 규범과 거의 일치하는 경향이 보이지만, <一段動詞>에서는 ラ抜き言葉 가 유지됨과 동시에 일본어접촉도가 낮은 화자에게 동요(動搖)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b) Ⅲ기와 Ⅳ기가 되어도 (오류는 있지만) 가능동사형과 デキル가 어느 정도 균등하게 사 용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일본어접촉도가 낮은 화자에게는 형태적인 처리능력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한국어와 한국어 구조에 끼워 맞춘 가능표현과 유사가능표현 등이 사용 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어접촉도가 높은 화자A에게는 정중도의 차이에 따른 스타일 면에서의 사용구분도 의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c) 제2언어습득에서 상실까지의 모든 과정을 보면 한국인귀국생의 제2언어접촉사의 후기 에는 한국어로부터의 전이와 함께 <단순화>와 동사 활용의 <회피>와 같은 학습자 전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목차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と問題の所在
2.1. 第二言語接触史研究
2.2. 可能表現に関する研究
2.3. 第二言語接触史における言語的特徴
3. 調査概要
3.1. 調査対象者および談話情報
3.2. 分析方法およびその他の資料
4. 可能表現の使用実態
4.1. 可能形式の用例分布
4.2. 派生可能動詞類
4.3. デキル類
4.4. 韓国語からの影響
5. 調査文調査
6. 植民地日本語との比較
7. おわりに
<参考文献>
<국문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