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Nuclear Disaster and Culture : Cultural Framing of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 Japan by South Korean Anti-nukes Activism

원문정보

Christian Joon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the perspectives of disaster anthropology, this paper explores a brief revival of South Korean anti-nukes activism in the aftermath of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explosions after an earthquake and tsunami hit the northeastern coast of Japan on March 11, 2011. Specifically, it raises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disaster and culture like how people relate to catastrophic events and amongst themselves after such events. A disaster exposes the way in which people construct or ”frame” their peril (including the denial of it), the way they perceive their environment and their subsistence, and the ways they invent explanation, and project their continuity and promise into the future. Based on a field research of the campaigns against nuclear power and climate change from 2010 to 2013,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response of South Korean anti-nukes activism from social change and political approaches, two gener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disasters. To put the various responses of anti-nukes activism in the context, this paper examines various responses of South Korean society to the triple mega-disasters covered by the media through a discourse analysis. There are four themes that are worth examining: 1) naturalizing nation and culturalizing disaster, 2) imported foods safety, 3) economic interests, and 4) radiation risk. From social change and political approaches, it is clear that South Korean anti-nukes activists considered the Fukushima accident as contexts for the revival of activism, for the creation of new agenda, and for the development of new power relations. In addition, from a globalization approach,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creation of transnational solidarity by South Korean anti-nukes activism as a response to the Fukushima accident also reveal a complex and contradictory process where South Korean anti􋹲nukes activists spatialize new and fluid landscapes of East Asia that can be called ‘the East Asian nation􋹲scapes’ which are interpreted differently by different actors. Most importantly, the paper is part of a growing discussion in public anthropology that asks what anthropology can do about public concerns.

한국어

본 논문은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지역을 강타한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전개되었던 한국탈핵운동의 임시적 부활을 재해 인류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재해와 문화 간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사 람들이 재난/재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그리고 사건 이후 서로의 관계를 어떻게 재구성하 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재해는 사람들이 자신들이 처한 위험을 어떻게 구성하거나 프레이밍 (외면도 포함하여)하는지, 어떻게 자신들의 환경과 생존 수준을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 떻게 설명을 만들어내고 인간의 지속성과 약속을 미래에 투영하는지를 보여준다. 2010년􋹲2013년 동안 진행된 탈핵운동과 기후변화반대 캠페인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본 논문은 한국탈핵운동의 반응을 2가지 재해에 대한 일반적인 인류학적 관점인 사회변화적 접 근법과 정치적 접근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탈핵운동의 임시부활을 맥락화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미디어가 보여준 3중 대재해에 대한 한국사회의 다양한 반응에 대한 담론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다양한 반응에서 4가지 주요 주제를 발견할 수 있다: 1) 국민의 자연화와 재 해의 문화화, 2) 수입식료품의 안전, 3) 경제적 이해관계, 그리고 4) 방사능 위험. 사회변화적 접근법과 정치적 접근법으로 보면 한국탈핵운동은 후쿠시마 사고를 운동의 부 활, 새로운 아젠다 제시, 새로운 권력관계 형성의 맥락으로 삼은 것이 분명하다. 더 나아가, 세계화 접근법으로 한국 탈핵운동의 다양한 반응을 보면 먼저 초국적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반면 복잡하고 모순적인 과정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한국 탈핵 운동이 후쿠시마 사고와 관련해서 ‘동아시아 내션스케이프’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롭고 유동적 인 동아시아를 공간화 한다는 것을 설명하려고 한다. ‘동아시아 내션스케이프’는 다양한 행위 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끝으로 본 논문은 공공 이슈에 대해 인류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 하고 있는 공공인류학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Responses from the South Korean Society
 4. Responses of South Korean Anti-nukes Activism
  4.1. A Brief History of South Korean Anti-nukes Activism
  4.2. Social Change Approaches: Revival of Anti-nukes Activism
  4.3. Political Approach: Diversification of Actors and New Power Relations
  4.4. Globalization Approach: Construction of East Asian Nation-scapes
 5. Conclusion
 
 <국문요지>

저자정보

  • Christian Joon Park 박준규. 한양대학교 ERICA 국제문화대학 문화인류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