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李良枝『刻』に表れる秒針の音の意味

원문정보

Meaning of Sound of Second Hand in “Moment” by Yanggyi Lee

根本尚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studied the meaning of the sound of the second hand which appeared in “Moment” by Yanggyi Le. Time in this literature was classified into several different aspects. Hypothesis was made that the “subjective relative” and “sustainable” phases apply in “Moment”. The main character was conscious of the sound of the second hand that appeared many times during the work, and this lead the appearance of two “ as myself” and “ of among others”. The consciousness to time brought her about subjectivity and made her aware of the other self. In addition, the time as “sustain” meant the time of history of “Korean Japanese”, and the main character tried to superimpose oneself to that time. However, her actual self was being left behind by superimposing, and the two s also diverged from each other here as well. I researched why the two s diverged from each other from the sound of second hand in “Moment”.

한국어

본론은 이양지(李良枝)의 『각(刻)』속에 드러난 초침 소리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문학에서의 시간이란 몇 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로 분류되어있다. 『각(刻)』에서는 「주관적 상대성」 「지속」의 형태가 적합하다는 가설을 세웠다. 작중에 수없이 나타나는 초침 소리를 주인공이 의식함으로써 「나의<나>」와 「다른 사람 속의<나>」의 두 명의 「나」가 나타났다. 시간에 대한 의식이 주관을 낳으며, 또 다른 한 명의 나를 의식하게 한 것이다. 또한, 「지속」에서의 시간은 「재일(在日)」의 통시적인 역사의 시간을 의미하며, 그 시간에 자신을 겹쳐보려고 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있었다. 그러나 겹쳐보려고 하는 나머지 본래의 자신의 모습이 내버려지게 되며, 이곳에서도 「나」가 각각 괴리되어간다. 어째서 두 명의 내가 괴리되어 가는가를 『각(刻)』이라는 작품의 초침 소리에서 언급하였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刻』に刻まれる時間
 3. 秒針の音
  3.1 實質的な秒針の音
  3.2「胸の奥」で刻む音
  3.3 聞にえない秒針の音
 4. 歷史として流れる時間
 5. おわりに
 参考文献
 국문요지

저자정보

  • 根本尚子 Nemoto Naoko.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본어창의융합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