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捷解新語』의 <‘못’ 부정>과 그 改修에 관한 일고찰

원문정보

A Historical Study of Negation Expression on 『Cheophaeshineo(捷解新語)』.

『첩해신어』의 <‘못’ 부정>과 그 개수에 관한 일고찰

閔丙燦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a form of Japanese language that corresponds to a negative word in Korean, mot(못), as used in ‘Cheophaeshineo(捷解新語)’, and investigates whether it has been altered as the original publication was revi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Japanese expression that corresponds to a negative word, mo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n expression that adopts a form of possibility and an expression that does not. However, the latter also contains a contextual or lexical meaning of impossibility. ‘Cheophaeshineo’ had been revised to clarify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parts written in Japanese, to correct errors or to reflect status. As for the parts that contain the negative word, mot, it was observed that in many cases, the revisions could not be entirely seen as manifesting changes toward modern Japanese expressions. In the revisions, changes in Japanese expressions often resulted in changes in Korean expressions. However, in many parts, the negative word, mot, maintained in Korean even when corresponding Japanese expressions were toned down or changed to different expressions. Still, overall, the inclination to tone down explicit and decisive expressions in the original version to milder expressions was observed in parts written in both languages.

한국어

본고는 『첩해신어』에 사용된 <‘못’ 부정>이 대응하는 일본어 형식을 확인하고, 해당 항목이 원간본의 개수 과정에서 변화가 있었는지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사항을 확인했다. <‘못’ 부정>이 대응하는 일본어는 <가능>형식이 개입된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도 어휘적 성격이나 문맥상 <-수 없다>의 뜻을 내포한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첩해신어』의 개수 양상을 보면 일본어 부분의 문장구조를 명확하게 하거나 오용을 바로잡거나 位相의 문제를 고려한 변경도 확인되며, <‘못’ 부정>과 관련한 항목에서는 일본어의 변경을 근대 일본어로의 변화 양상을 드러낸 것으로만은 보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개수 과정에서는 일본어의 표현방식의 변화가 한국어 표현의 변경으로 반영되는 측면이 강한데, 일본어 부분이 완곡한 또는 다른 표현으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부분에 <‘못’ 부정>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못’ 부정>의 의미범주를 함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전체적으로는 원간본의 직접적이고 단정적인 표현을 완곡한 표현을 선택하는 쪽으로 변경하는 경향 역시 양 언어 모두에서 확인된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기
 2.『첩해신어』의 부정표현과 문제의 소재
 3.『첩해신어』에 보이는 <'못' 부정>
 4. <'못' 부정>의 改修
 5. 맺음말
 參考文獻
 <국문요지>

저자정보

  • 閔丙燦 민병찬. 인하대학교 문과대학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일본어학ㆍ일본어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日文譯法』의 일한번역 양상에 대하여earticle 원문 이동
  • 2가능표현의 일한번역에 관한 통시적 일고찰earticle 원문 이동
  • 3「捷解新語」對譯文을 통해 본 근대 한국어 변천의 특성네이버 원문 이동
  • 4한국어 부정사 '안'과 '못'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5成光秀(1971) 「否定-變形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52, 국어국문학회, pp.75-99.
  • 6申昌淳(1982) 「國語否定法硏究」, 『언어』 제7권 제1호, 한국언어학회, pp.241-255.
  • 7近代日本語의 可能表現 : 洋學資料와 言文一致體 小說을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82 : Sememe of Negative ' Ani - ' and ' Mot - '네이버 원문 이동
  • 9Pragmatic System of Negation and Denial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네이버 원문 이동
  • 10이태욱(2001) 「『첩해신어』(捷解新語)류에 나타난 17, 18세기 국어 부정법(否定法) 고찰」, 『人文科學』 제31집, 성균관대학교, pp.89-116.
  • 11이태욱(2003) 「《諺解 痘瘡集要(언해 두창집요)》에 나타난 17세기 국어 부정법 고찰」, 『語文學』 제79집, 한국어문학회, pp.239-262.
  • 12A Study on the Negation in the 17th Century Korean, Found in《Eonhae Taesanjibyo》네이버 원문 이동
  • 13否定法 論議와 國語의 現實네이버 원문 이동
  • 14趙南德(1994) 『捷解新語의 改修分析』, 西光學術資料社.
  • 15국어 否定法의 通時的 고찰네이버 원문 이동
  • 16大野透(1956) 「ベシ・ベカラズ・マシジ・マジについて」, 『国語学』 25. pp.80-89.
  • 17三宅俊浩(2016) 「可能動詞の成立」, 『日本語の研究』 第12巻2号, pp.1-17.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