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어 잔재의 사용실태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원문정보

A Sociolinguistic Study on the usage of Japanese residues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425 people living in Metropolitan City of Daegu are divided into households(young, middle-aged and older group), and the results of survey on the usage status of 15 Japanese residues including 6 food names, 6 household tools names, and 2 others(colors and costume) are classified by type as follows; (1) Extinction type-Japanese residues whose usage rate decreases as the lower aged group in all ages with less than 30% of the usage ratio: Takuang(pickled radish), ‘Tamanegi(onion)’, Tsumekiri(nail clipper), Waribashi(wooden chopsticks), Maho Byung(thermos bottle), Jabudong (sitting mat), Kuruma(cart). Haneulsaek(sky blue). (2) Settled type-Japanese residues with over 60% of the usage ratio regardless of any age group: Wasabi, Oden(fish cake), Konsaek(navy blue color). (3) Diffused type-Japanese residues whose usage ratio of young group is higher than 60%, and usage ratio is decreased as the lower age group: Sushi, Sodenashi(sleeveless clothes). (4) Coexisted type – Japanese residues whose usage ratio of middle-aged and older age group with over 30% or Japanese residues with a difference of 3% or less between generations: Sashimi, Yohji(toothpick).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hat the name of 5 living tools excluding ‘Yohji’ and the names of foods such as ‘Dakuang’ and ‘Damanegi(onion)’ will gradually disappear, but the remaining 10 Japanese residues are expected to coexist with Korean language in the future.

한국어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425명을 세대별(청년층, 중년층, 노년층)로 나누어 식품 명칭 6개, 생활도구 명칭 6개, 기타(색깔 및 복장) 3개 등, 15개 일본어 잔재에 대한 사용빈도를 유형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소멸형(모든 연령층에서 사용비율이 30% 이하이면서 연령이 낮을수록 사용빈도가 감소하는 일본어 잔재)-다쿠앙, 다마네기, 쓰메키리, 와리바시, 마호병, 자부동, 구루마, 소라색. (2) 정착형(연령에 관계없이 일본어 잔재의 사용비율이 60%가 넘는 잔재 일본어)-와사비, 오뎅, 곤색. (3) 확산형(청년층의 사용비율이 60%를 넘고 연령이 낮을수록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일본어 잔재)-스시, 소데나시. (4) 공존형(중년층, 노년층의 사용빈도가 30%넘거나 세대(연령층) 간 사용률의 차이가 3% 이하인 잔재 일본어)-사시미, 요지. 즉 ‘요지’를 제외한 5개의 생활도구 명칭과 ‘다꾸앙’ ‘다마네기’와 같은 식품 명칭은 앞으로 점차 소멸해 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나머지 10개의 잔재 일본어는 앞으로도 소멸하지 않고 한국어와 함께 공존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선행연구의 검토
 3. 국어에 대한 일본어 간섭의 역사적 배경
 4. 조사개요 및 내용
  4.1 조사개요
  4.2 조사내용
 5. 조사의 결과 및 고찰
  5.1. 식품 이름의 사용실태
  5.2. 생활도구 이름
  5.3. 기타
 6. 마무리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홍민표 Hong Minpyo. 계명대학교 인문국제학대학 교수, 사회언어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