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自動ㆍ他動ㆍ受身の構文論的対応 - 他動詞の可能文に対応する自動詞文に注目して -

원문정보

Syntactic alternation of intransitive, transitive, and passive : Focusing on intransitive sentence that alternates with potential sentence of transitive

韓静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has studied the syntactic alternation of intransitive sentence, transitive sentence, and passive sentence. In addition, focusing on the existence of intransitive sentence that alternates with potential sentence of transitive, it also discusses the fact that the will of agent is involved in intransitive sentence which has the meaning of potential. Whereas most of transitive sentence can be changed to intransitive sentence, intransitive sentence cannot be changed to transitive sentence, if agent is not clear. The same holds true also with passive sentence. In the case of intransitive sentence, it can be changed to transitive sentence, if agent is clear. In this case,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possible, if it is likely that agent is external cause, but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not possible, if agent is regarded as internal cause and if it is not likely that agent is external cause. Additionally, as for intransitive sentence, alternation to potential sentence of transitive is possible, if agent is clear and, in addition, if the will of agent is accompanied by the realization of events expressed through intransitive sentence. In this case, too,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possible, if there is likelihood that agent is external cause, otherwise,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impossible.

한국어

본고에서는 자타대응을 가지는 자동사로 구성된 자동사 구문과 그에 대응하는 타동사로구성된 타동사 구문, 그리고 자동사 구문과 나란히 타동사 구문에 대응하는 수동문의 구문론적인 대응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타동사 구문이 아닌 타동사의 가능문에 대응하는자동사 구문의 존재에 주목하여 가능의 의미를 지니는 자동사 구문에 있어 동작주의 의지성이 관련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대부분의 타동사 구문은 자동사 구문으로 치환할 수 있음에 반하여 자동사 구문은 동작주가 명확하지 않으면 타동사 구문으로 치환할 수 없다. 이는 수동문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자동사 구문에 있어서 동작주가 명확한 경우에는 타동사 구문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 경우 동작주가 외인(外因)일 가능성이 있다면 수동문으로의 치환 또한 가능하지만, 동작주가내인(内因)으로 간주되며 외인일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수동문으로 치환할 수 없다. 나아가 자동사 구문에 있어서 동작주가 명확하며 그에 더하여 자동사 구문이 나타내는사건의 실현에 동작주의 의지성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타동사 구문이 아닌 타동사의 가능문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동작주가 외인일 가능성이 있다면 수동문으로 치환할 수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동문으로의 치환은 불가능하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自動詞文・他動詞文・受身文の対応 
  2.1 他動詞文に対応しない自動詞文
  2.2 他動詞文に対応する自動詞文
  2.3 他動詞の可能文に対応する自動詞文
 3. 可能の意味を帯びる自動詞文 
 4. おわりに
 <参考文献>
 <국문요지>

저자정보

  • 韓静妍 한정연. 漢陽大学校 日本学国際比較研究所 学術研究教授、日本語学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