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漢和辭典 咸攝 1ㆍ2等韻 字音 規定의 문제점

원문정보

Kana - Notations on the First and Second Rhymes of Group Xian(咸) in Sino - Japanese Dictionaries

한화사전 함섭 1ㆍ2등운 자음 규정의 문제점

白惠英, 李京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iscussed the Kana-Notations of characters that belong to first and second rhymes of group Xian(咸) among 2,136 New Usual Sino-Japanese Characters(2010) in the six Sino-Japanese dictionarie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Final-P was recorded as a old Kana- notation Fu[フ] in the every dictionaries, but Final-M was recorded as a old Kana notation Mu[ム] in the only dictionary of Gakkenkyoiku. 2) The type of Q[ッ] and Tsu[ツ] of FinalP was provided as a Kan’yo’on in the many dictionaries. But Q[ッ] of Final-P can not be pf Final-P can not be provided as a Kan’yo'on because Tsu[ツ] notation of FinalP is famillia to original sound more than vowel [u] crovided as a Kan’yo’on because Q[ッ] of Final-T and Final-K are not provided as a Kan’yo’on in the all of dictionaries. And Tsu[ツ] ohanged from Fu[フ]. 3) Main vowel of rhyme Tan(覃) appears as a [a] or [o] in Go’on because it is middle low back vowel [ʌ]. And main vowel on same characters of rhyme Tan(覃) recorded different to as a [a] or [o] in the many dictionaries. Therefore, Go’on of rhyme Tan(覃) must be provided after that checked what type appears as a [a] or [o] in old Go’on text. 4) Main vowel of rhyme Xian(銜) and Xian(咸) appears as a [a] or [e] in Go’on text because two rhymes are front vowel [a] and [ɐ]. And main vowel on same character of rhyme Xian(銜) and Xian(咸) recorded different to as a [a] or [e] in the many dictionaries. Therefore, Go’on of rhyme Xian(銜) and Xian(咸) must be provided after that checked what type appears as a [a] or [e] in old Go’on text.

한국어

본고에서는 新常用漢字表에서 咸攝 1・2등운에 속하는 한자에 대해 漢和辭典 6종을 대상으로 그 字音 규정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1) 모든 사전에서 咸攝 제운의 순내입성운미에 대해서는 고형 [フ]를 기재하고 있지만, 순내비음운미에 대해서는 學硏敎育에서만 고형 [ム]를 기재하고 있다. 2) 대부분의 사전에서 순내입성운미의 促音形과 [-ツ]형을 慣用音으로 처리하고 있다. 설내입성운미나 후내입성운미의 促音形은 慣用音으로 분류하지 않으면서 순내입성운미의 促音形만을 慣用音으로 규정할 수 없으며, 또한 [-ツ]형도 ハ行轉呼音에 의해모음 [ウ]로 변화하는 것보다 [ツ]로 표기하는 것이 원음에 가까운 표기이므로 이 역시 慣用音으로 규정할 수 없다. 3) 1등 覃韻의 주모음은 중저위후설모음 ʌ이므로 吳音에서 그 주모음이 a로도 o로도 출현한다. 이로 인해 여러 漢和辭典에서 覃韻의 동일한 한자에 대해 그 주모음을 a와 o 로 다르게 기재하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4) 1등 談韻의 주모음은 저위후설모음 ɑ이므로 吳音에서도 漢音과 동형인 -am/-aɸu형으로만 출현하고 있다. 그런데 일부 漢和辭典에서 吳音의 주모음을 o로 기재하고 있는경우가 보인다. 5) 2등 咸韻의 주모음은 중저위전설모음 ɐ이며, 銜韻의 주모음은 저위전설모음 a이므로吳音에서 두 운 모두 그 주모음이 a로도 e로도 출현한다. 이로 인해 여러 漢和辭典에서 咸・銜韻의 동일한 한자에 대해 그 주모음을 a와 e로 다르게 기재하고 있는 경우를볼 수 있다.

목차

Abstract
 序論
 本論
  1. 開口 1等 覃韻
  2. 開口 1等 談韻
  3. 開口 2等 銜韻
  4. 開口 2等 咸韻
 結論
 <參考文獻>
 <국문요지>

저자정보

  • 白惠英 백혜영. 동국대학교(seoul campus) 대학원 수료, 日本語音韻論
  • 李京哲 이경철. 동국대학교(seoul campus) 일어일문학과 교수, 日本語音韻論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