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교양 일본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분석 - 새로운 일본어 교육 방법론을 위한 탐색적 시도 -

원문정보

An analysis of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college Japanese classes

방극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 As a series of an explorational attempt for a new Japanese educational methodology focused on the learner, this study has considere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properties) of the learner through a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SPSS22.0) on elective Japanese learners (242 elective Japanese students of 2 universities, in semester 1 of 2016). The results are as set forth below. Elective Japanese learners displayed high ‘anxiety about tests’ and ‘anxiety about grades’ compared to ‘nervousness in class’, ‘fear of class’, ‘confidence in class’ and ‘anxiety about projects’. The degree of questions during class displayed the lowest level at 2.095, which display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is not effective. Particularly, there were differences in ‘nervousness in class’, ‘fear of class’ and ‘anxiety about grades’ based on gender, prior studies, and experience in visiting Japan. For instance, female students displayed higher ‘nervousness in class’, ‘fear of class’, ‘anxiety about tests’ and ‘anxiety about gra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regoing analysis, three proposals are to be made on new Japanese educational methodology. Although this study has paid attention to analyzing the affective properties of elective Japanese learners, intensive research related to the correlation and class satisfaction, and the assertive properties remain as the task to resolve.

한국어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일본어 교육 방법론을 위한 탐색적 시도의 일환으로교양 일본어 학습자(2개 대학, 242명 교양일본어 수강자, 2016학년도 1학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SPSS 22.0)을 통해서,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아래와 같다. 교양 일본어 학습자는 ‘수업 긴장도’, ‘수업 두려움’, ‘수업 자신감’, ‘과제 부담감’에 비해서 ‘시험 부담감’, ‘성적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시간에 질문 정도는 최하위 2.095로 나타나, 교수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수업긴장도’, ‘수업 두려움’, ‘성적 부담감’은 성별에 따른 차이, 선행 학습 유무에 따른 차이, 일본 방문 경험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서 ‘수업 긴장도’, ‘수업 두려움’, ‘시험 부담감’ ‘성적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일본어 교육 방법론의 3가지 제언(提言)을 하였다. 본 연구는 교양 일본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분석에 주목하였으나, 정의적 특성과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와 상관관계에 관한 심층적 연구는 향후 과제로 남는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기
 2. 선행연구 및 문제점
 3. 교양 일본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분석
  3.1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4. 나오며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방극철 Bang Geug Chol. 순천대학교 일본어일본문화학과 교수, 일본어교육학, 일본어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