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風土記』의 希望表現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Hope Expressions in 『Fudoki (風土記)』

『풍토기』의 희망표현에 관한 고찰

李眞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Japanese ‘hope expressions’ found in ancient literature which correspond to 「∼たい」 and 「∼てほしい」 in modern Japanese. This is a follow-up study of the previous research on 『日本書紀』“Nihonshoki” and 『古事記』“Kojiki”, and could hopefully be a foundational step toward understanding formation process of Japanese hope expressions. In 『風土 記』 “Fudoki”, using synonyms like 「欲」, 「願」, 「祈」, 「祷」, 「乞」, 「冀」, 「望」, 「請」 and 「求」 seem to be common to represent hope and wish.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Fudoki by countries reveals that anomalous hope expression usages started to appear in 『出雲國風土記』 in which <給> and <坐> are annexed to 「願」 in order to express ‘respect’. In 『肥前國風土記』, both 「欲」 and 「願」were adopted to represent same meaning area, signifying similar transcription system used in 『日本書紀』 “Nihonshoki”. For the meaning of [願望-表出] “desire revelation”, both 「欲」 and 「願」 are used but 「願」 is differentiated by being used to express speaker's wish which is highly likely to come true. 「欲」 represents [願望-說明] “desire description”, [希求-表 出] “wish revelation”, and [希求-說明] “wish description” as 「欲」 is assumed to have been less restricted in applying tense and person, compared to 「願」.

한국어

본 연구는 『風土記』를 대상으로, 현대일본어의 희망표현에 해당하는 <∼たい>와 <∼てほ しい>에 대응하는 상대(上代)희망표현의 특징을 밝히기 위한 연장선이며, 궁극적으로는 일본어 표현형식과 표기의 문제를 이해하는 기초단계라고 할 수 있다. 『風土記』에는 희망표현에 「欲」 「願」 「祈」 「祷」 「乞」 「冀」 「望」 「請」 「求」의 동훈이자(同訓異字)를 사용하여 어휘의 다양성을 추구한 경향이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古事記』에서 「欲」과 「願」만을 제한적으로 사용하여 동훈이자의 사용을 회피한 것과 차이가 있다고 할수 있다. 『古事記』에는 「欲」은 조동사용법에서 대응하며, 「願」은 부사용법에서 대응하는데, 이것은 동훈이자가 문장의 구성성분에 따라 어휘적 의미가 달라짐을 의식한 결과라고 추측할 수 있다. 『風土記』의 특징을 보면, 出雲國에는 「願」에 <給>과 <坐>를 접속하여 경의(敬意)의 의미를 부가한 변체한문체의 성격이 보인다. 그리고 肥前國에는 같은 의미영역에서 「欲」과 「願」 을 양용하여, 정격한문체로 쓰인 『日本書紀』의 표기의식과 유사함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의미영역의 특징을 보면 [願望􋹲表出]에서는 「欲」과 「願」이 공통적으로 대응하고있다. 그러나 「欲」은 화자의 심정적 표현이 불특정다수를 향해있는 경우이며, 「願」은 화자의심정적 표현이 특정된 청자를 향하고 있어 실현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사용된 경향이 있다. 그리고 [願望-說明] [希求-說明]에서는 주로 「欲」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欲」이 「願」보다화자의 인칭 및 시제에 제한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希求-表出]에서 「欲」이 사용된경우는 객체에 대해 공손화가 필요하지 않은 아랫사람을 향한 심정적 표현인 경우에 해당하는 특징이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1. 漢和辭典의 의미용법 및 졸고의 고찰
  2. 『風土記』에 사용된 희망표현 표기상황
 Ⅲ. 결론
 <參考文獻>
 <국문요지>

저자정보

  • 李眞淵 이진연. 釜山大学校 日語日文学科 日本語学 講師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