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조일본인과 일본 전통시가의 경성 표상 - 한반도 최대 단카집(短歌集) 『조선풍토가집(朝鮮風土歌集)』 (1935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Japanese Perspective on Korea and the representation of Keijo in Japanese traditional poetry: Focusing on The Joseon Natural Features Tanka Anthology (1935), the most significant Tanka anthology dealing with Korea

엄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nsiders how Keijo (modern-day Seoul), the capital of colonial Joseon, is represented in terms of the local color its natural features provided, and in what manner its historical conditions are depicted in The Joseon Natural Features Tanka Anthology (the most significant Tanka anthology focused on the Korean Peninsula), published in 1935. I have attempted to examine the perspective on history and the narrative focus of the Japanese authors in this anthology as they depict Keijo, which was a melting pot in which the Japanese and the Koreans, the pre-modern and modern, and Joseon’s traditions and foreign culture intermingled. The natural features of Keijo are the focus of these authors, conscious as they were of the exoticism of Korea to Japanese readers, and the local distinctiveness these Tanka writers desired to portray. Tanka texts related to Keijo seek to capture local people’s live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and memory, the evolution of contemporary Joseon society in the process of disappearance or cre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Hanyang to Keijo, and the various forms of contemporary life in Keijo. Japanese residents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had common historical memories of Keijo, as the city was the locus of pivotal events affecting Korea and Japan prior to 1910, such as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First Sino-Japanese War in 1894. The work of the Japanese Tanka writers effectively served as a mnemonic device exposing the collective unconscious which stemmed from colonialism. In this light I have analyzed the distortions, erasures and consolidations of memory of The Joseon Natural Features Tanka Anthology, which includes texts written over the course of 30 years, and which depicts Keijo through the prism of its topos as the site of historical evocation.

한국어

이 논문은 1935년 간행된 한반도 최대의 가집 『조선풍토가집』에서 식민지 ‘조선’의 수도 경성이 어떻게 ‘조선색’의 풍토로 위치하고 표상되며 역사 기억을 어떠한 방식으로 내재하는지 고찰한 것이다. 일본인과 조선인, 전근대와 근대, 조선의 전통과 외래의 문물이 혼합된 거대한 용광로 같은 공간 서울이라는 대도시에 잠복한 과거 서사와 일본인들의 역사기억을 살펴보고자 했다. 경성의 ‘풍토’는 ‘내지’에서 기대하는 이국정조와 ‘조선색’의 고유함을 구현하려는 가인들의 욕구를 동시에 의식한 개념이었다. 경성 관련 단카들은 개인의체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경성 조선인들의 삶을 객체화한 것, 한양에서 경성이 변모하면서소멸 혹은 생성된 것들에 대한 변천을 포착한 것, 경성에서의 모던한 생활 양태를 그린 것등으로 유형화되었다. 특히 재조일본인들은 경성이라는 공간을 조선의 유구한 역사와 결부시킬 때 공통의 기억 장치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임진왜란이나 청일전쟁 등 1910년 이전의 한일관계를 보여주는 장소에 대한 기억이었다. 일본인 가인들이 드러낸 이러한 기억장치는 식민지주의에 의한 집단적 무의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역사 환기의 장으로 토포스가 된 경성 풍토 단카를 통하여 약 30년간 유효했던 기억의 왜곡, 소거, 혹은 강화의 양상을 분석했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며―한반도 가단(歌壇)의 역사와 『조선풍토가집(朝鮮風土歌集)』
 2. ‘풍토=로컬컬러’로서의 경성의 위치
 3. 『조선풍토가집』과 경성 표상의 유형
  (1) 경성의 조선인들 삶과 생활의 객체화
  (2) 한양에서 경성으로의 변모에 대한 감지
  (3) 경성의 모던한 생활
 4. 경성 관련 단카에 내재된 역사의 기억
  (1) 조선 왕조 패망의 기억
  (2) 역사적 기억의 망각과 소거
  (3) 한일 관계의 역사와 전쟁 기억
 5.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엄인경 Um, Inkyung.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