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의 <먹지 않는 아내(食わず女房)> 이야기의 한국으로의 수용 양상

원문정보

The aspect that a Japanese folktale, <A wife who does not eat food (Kuwazunyoubou)> is accepted to Korea

김용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e the tales included in Korean legendry are read, the ones which are similar with the ones passed down by Japan can be found. Some of these Japanese tales were included in Korean legendry as they were accepted to it pass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 could not be a big problem in the fact that the Japanese tales are mixed with Korean legendry in view of cultural exchange. It's because it is easy for the two countries to spread and accept the tales to each other as they are geographically close.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researchers recognize the fact and clarify the acceptance aspect concretely. The manuscript concretely clarified a folktale called in Korean legendry which is actually the one known as in Japan. This folktale was included in Korean legendry as it was recognized as if it was passed down to Korea before modern times after it was flowed into Korea from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한국어

본고는 한국의 설화자료집에 수록된 <밥을 안 먹는 아내>가 일본에 전해지는 <먹지 않는 아내(食わず女房)>의 변이담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점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논거를 텍스트와 콘텍스트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먼저 한국과 일본의 텍스트 내용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첫째 <일본형>은 공통적으로 이야기가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한국형>에서는 이야기가 후반부로 이어지지 않고 대부분 전반부에서 종결된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내용적으로 볼 때에, <일본형>은 오월 단오라는 세시풍속의 유래를 설명하는 혹은 밤 거미를 죽이라는 경구와 연결되는 일종의 요괴담 형태로 전승된다. 이에 비해서 <한국형>은 밥을 많이 먹는 아내가 얼마나 비정상적인가를 강조하여 청자들의 웃음을 유발하는 소화에 근접해 있다. 설화의 콘텍스트적인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논거로 들 수 있다. 첫째 현재까지 채록된 <한국형> 이야기의 편수가 너무 적고 지역적인 분포도 지극히 제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일제강점기를 포함한 전후의 시기에 발행된 한국의 설화자료집에는 이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일본의 민담자료집의 <먹지 않는 아내(食わず女房)>의 유형 및 구성
 3. 한국의 설화자료집에 수록된 <밥을 안 먹는 아내>의 유형 및 구성
 4.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김용의 Kim Yongui.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교수. 일본문화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