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산쇼다유(山椒大夫)전설의 패러디 - 기뵤시(黄表紙)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Gesaku Styles of Sanshoudayu Legend - Focusing on Kibyoushi -

손정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vers Kibyoushi taking the Sanshoudayu’s world. Firstly, Santo Kyouden’s Aakikirakineki used this legend for publicizing a real person in the Edo Period whose name was Kinkei. Secondly, Torai Sanna’s Meguriauoyakonozenigoma has some different aspects in spite of using the same material. There are three kinds of coins replacing the original characters and they were floating everywhere and finally met again in the end. Using the symbol of Edo, that is money, Sanna described the circle of life by combining it with this old legend. Thirdly, Sakuragawa Jihinari’s Sanshoudayumonogatari can be told as the faithful work to the original story. Lastly, Jippensha Ikku’s Kibyoushi had adopted the mainstream of Katakiuchi(Vengeance) in that time. To make this kind of vengeance work, Ikku seemed to make up Zouekisanshoudayu as Sanshodayu’s prequel. This reflected the tendency that Gesaku was moving out of the Edo area and its subject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which meant Kibyoushi’s decline and Goukan’s ascendence. The Shanshoudayu legend came to be reborn in the form of pictures and written language through Kibyoushi, just as a lot of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works were adapted in new genre such as dramas and films in attempting a new cultural context. This is one of Gesaku(Parody) style, we can say, the one of mainstreams in the Edo culture.

한국어

본 논문은 산쇼다유전설을 패러디한 기뵤시를 중심으로 일본 고전의 다양한 활용의 예를 살펴봄과 동시에 아울러 기뵤시의 변화양상도 고찰하였다. 산쇼다유전설을 기뵤시에 접목시킨 작가로는 산토 교덴, 도라이 산나, 사쿠라가와 지히나리 그리고 짓펜샤 잇쿠가 있다. 우선, 교덴은 실재인물인 긴케이라는 교카시의 홍보를 위한 도구로 이 전설을 이용하였다. 산나는 산쇼다유전설의 주인공들을 당시의 화폐, 동전에 빗대어 이들의 모험담을 전개하며 기뵤시 특유의 성질을 잘 살린 작품을 선보였다. 지히나리는 전설의 오리지널 스토리를 그대로 살리고 도요쿠니의 훌륭한 그림을 삽입함으로써 후대에 이 전설을 이어주는 역할을 했다. 또한 잇쿠의 작품을 통해 기뵤시가 쇠퇴하는 모습과 함께 고칸으로 변화해 가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산쇼다유전설은 기뵤시를 통해 그림과 함께 한 새로운 이야기들로 재탄생되었는데, 이는 기뵤시라는 대중미디어가 가지는 특징으로 보아, 오늘날 여러 고전들이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되는 전개방식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기뵤시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들 속에 일본고전패러디는 계속되었고 이는 에도후기 문화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를 통해 에도문화 나아가서는 일본문화의 패러디방식을 읽을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며
 2. 산쇼다유전설의 흐름과 기뵤시
 3. 인물홍보를 위한 미디어
 4. 패러디와 기지 넘치는 단편극
 5. 오리지널을 고수한 이야기책
 6. 복수물의 유행과 고칸(合巻)의 예고편
 7. 나오며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손정아 Sohn Jeong-Ah. 경북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