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ㆍ日両言語の翻訳に見られる「-てしまう」と「-어 버리다」の対応関係について

원문정보

About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te shimau」and Korean「-e borida」

金京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clarifying the semantics in Japanese 「-te shimau」 and Korean 「-e borida」 with 「completion」 「rearrangement」 「irreparability」 「incongruence」 「insignificance」 based on yoshikama(1971), we've figured out insignificance is used the most, followed by 「incongruence」 and 「rearrangement」 . The counterpart in Korean, which is most useful, is 「-da」 followed by 「-e borida」 and 「-ko malda」 . Although It is said that the counterpart of 「-te shimau」 is 「-e borida」 , some sentences that have more 「-da」 than 「-e borida」 are considered different. That's because the meaning of 「-te shimau」 has been weakly , influenced by grammatical factors such as the expression of aspiration, sanction, volition, and condition. In semantics of 「-e borida」 in Korean, the use of 「rearrangement」 is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irreparability」 and 「completion」 . The most useful counterpart in Japanese is 「-te shimau」 followed by 「-ru」 「-ku naru」 . 「󰠏ru」 the counterpart in Japanese of 「󰠏e borida」 is featured in compound verbs. Among the five usages in Korean, 「incongruence」 has been significantly less used than 「󰠏te shimau」 in Japanese. As 「󰠏e borida」 has less meaning in 「incongruence」 than 「󰠏te shimau」 it tell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한국어

소설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てしまう」와 한국어 「-어 버리다」의 의미용법을 吉川(1971)의 분류를 토대로 「완료」 「정리」 「돌이킬 수 없는」 「무의지적」 「부적합」의 5가지로 분류했더니, 일본어 「-てしまう」의 의미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무의지적」이며, 다음은 「부적합」「정리」 순이었다.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표현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다」이며, 다음이 「-어 버리다」 「-고 말다」 순이었다. 「-てしまう」는 「-어 버리다」와 대응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하지만, 「-어 버리다」 보다 「-다」 쪽이 많은 것이 차이점으로 보인다. 그 이유로는 「-てしまう」 뒤에 오는 희망표현, 허용표현, 의지형, 조건표현 등의 문법 성분의 영향을 받아 「-てしまう」의 의미가 약해졌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한국어 「-어 버리다」의 의미용법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정리」이며, 다음은 「돌이킬 수 없는」 「완료」 순이었다. 이에 대응하는 일본어표현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てしまう」이며, 다음이 「-る」 「-くなる」 순이었다. 「-어 버리다」에 대응하는 일본어표현 「-る」는 복합동사가 많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한국어 「󰠏어 버리다」는 다섯가지 의미용법 중, 「부적합」이 일본어 「-てしまう」 보다 용례수가 현저히 적었다. 이것에서 「-어 버리다」는 「-てしまう」 보다 「부적합」의 의미가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점이 일본어 「-てしまう」와 한국어 「-어 버리다」의 의미용법에 있어서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1.1 研究目的
  1.2 先行研究
  1.3 研究方法
 2. 日本語 「-てしまう」と韓国語 「-어 버리다」に対応する用例分析
  2.1 日本語「-てしまう」に対応する韓国語表現の用例分析
  2.2 韓国語「-어 버리다」に対応する日本語表現の用例分析
 3. おわりに
 <参考文献>
 <국문요지>

저자정보

  • 金京姙 김경임. 부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