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텍스트와 이미지에 나타난 메르스 감염병 프레임 분석 : 인스타그램( Instagram)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Frame Analysis of MERS Disease : Using Text and Photo Image in Instagram

박단비, 권상희, 강보영, 김세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plores the image analysis and Text Semantic Network Analysis through texts and images for MERS virus, the recent main issue of our society, in Instagram. Through the study will examine what image frame Instagram forms and what language frame Instagram uses about MERS. For this, frame theory, image frame theory, images of historical disaster, and language semantic network on Instagram were carefully considered. To analyze images related to MERS issue in Instagram, 1,004 images were collected through stratification sampling of 10,000 images that can be searched by the image search platform. The image plot software was used for method of analysis. This study collected posts with hash tag ‘#MERS’ from May 20, 2015 to July 28 in order to analyze Instagram posts on MERS issue. A result of analyzing images and posts about MERS in Instagram is as follows. For the period 1, anxiety frame for MERS such as prevention for MERS was acted. Image frame for the period 1 is also in a similar pattern of language frame, fear frame was formed for a new infection disease. On the other hand, for the period 2, it could be found that expressions about MERS in everyday life were formed more than in the period 1. In case of an image frame in the period 2, identity frame from daily life was formed. For the period 3, prevention of signs of an oncoming flu was showed, and it could be found that overcoming image frame was formed in case of an image frame. As you can see the above result, an image frame and language frame forms frame showing in a similar pattern. Through this study, analyzing what image frame Instagram users formed and what meaning of posts they wrote about MERS issue can be regarded as significant in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Instagram)에 게시된 메르스(MERS) 관련 텍스트와 이미지를 대상으로 프레임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기간은 2015년 5월 20일부터 7월 28일까지 이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시기의 경우 메르스에 대한 조심 예방 등 메르스에 대한 불안 프레임이 작용하였다. 이 시기의 이미지 프레임 또한 언어 프레임과 비슷한 양상으로 새로운 감염 병에 대한 공포프레임이 형성되었다. 한편 2시기에 경우 메르스 주변으로 일상생활에 표현에 대한 형성이 1시기보다 많이 형성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2시기의 이미지 프레임의 경우 일상에 비치는 정체성 프레임이 형성되었다. 제3시기의 경우에는 감기 시작 예방 등이 나타나고 있고, 이미지 프레임 또한 극복을 이미지를 프레임 형성하는 것을 알아 볼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 알아 볼 수 있듯이 이미지프레임과 언어프레임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프레임 형성을 한다고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이 메르스 이슈에 대해 어떤 이미지 프레임을 형성하고 어떤 텍스트 프레임을 형성하였는지를 분석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며
 2. 이미지 관련 프레임 이론적배경
  1) 인스타그램의 특성
  2) 역사적 질병이미지
  3) 메르스
  4) 텍스트와 이미지 프레임
  5) 명도와 채도
 3. 연구문제 및 연구 방법
  1) 연구문제
  2) 분석기간
  3) 분석대상
  4) 분석방법
 4. 분석결과
  1) 인스타그램 메르스 주요 텍스트와 이미지
  2) 메르스 텍스트 프레임과 이미지 프레임
 5. 연구 결과 및 함의
  1) 연구 결과
  2) 연구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단비 Park, Dan Bi.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과정
  • 권상희 Kweon, Sang Hee.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강보영 Kang, Bo Yiung.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
  • 김세진 Kim, Se-Jin.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