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즈미시키부의 가어 - <恨む우라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oetic diction of Izumishikibu : Focused on ‘Uramu’

노선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zumishikibusyu” there is more that can be up to 1,500 Waka. Used in these various Waka is reflected in the unique style Izumishikibu wealth. Is that it seems a variety of stroke in the sam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y is using the Gago歌語 of Izumishikibu interesting thing to add.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represented a form of attention to the song of Uramu恨む Izumishikibu addition to this paper in particular. The appeal directly to the complaints of love Uramu is unable to accept a situation that is not in his heart believe a state of mind to think like a bad guy or a party dissatisfied here to talk sense to complain. Analyzed Uramu sing results show that it has attempted to Gapung歌風 own out of the typical ways of “Kokinwakasyu”. In addition, we estimate the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Waka unknown time and production circumstances. In conclusion, this paper tries to visualize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Uramu of Kago and estimate their production years, by analyzing the clues from the songs. The background of their production has not been well investigated.

한국어

『이즈미시키부집』에는 1,500수에 달하는 와카가 수록되어 있다. 이들 와카에 사용된 다양한 가어에는 이즈미시키부의 독자적인 작풍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아쓰미치 친왕과 의 사랑을 기록한 『이즈미시키부 일기』에는 145수에 달하는 와카가 삽입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도 그녀만의 독특한 표현형식을 엿볼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이즈미시키부가 사용한 동일한 가어가 상대방과의 관계성 속에서 다양한 영법을 보인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恨む(우라무)>라는 가어에 주목하여 이즈미시키부가 읊은 와카 표현양식의 특색을 규명하였다. 사랑의 불만을 직접적으로 호소하는 <恨む>는 자기 생각대로 되지 않는 사태를 마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상 대방을 나쁜 사람처럼 생각하는 마음상태로 불만스럽게 여기거나 불평불만을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恨む>노래를 분석한 결과, 『고금집』의 전형적인 작풍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가풍을 시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와카를 읊은 시기와 제작사정을 알 수 없는 와 카의 제작배경과 제작시기를 추정하였다. 그 단서로서는 먼저 <恨む>에 표출된 정서로 판단하였다. 그녀가 생애 가장 사랑했던 아쓰미치 친왕에게 보낸 노래와, 평생 가슴 속 에 간직한 첫 남편인 다치바나노 미치사다를 떠올리며 지은 노래에 보이는 <恨む>의 질적 차이를 근거로 삼았다. 두 번째로는 <恨む>노래에 함께 사용된 「涙」와 「身」라는 가어가 표출하는 정서가 친왕은 물론 딸과의 사별을 통곡하며 지은 애가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이즈미시키부만의 독특한 정서임을 확인하고 이를 추정 근거로 삼았다. 결론적 으로 <恨む>라는 가어로 제작 사정이 명확하지 않은 노래에 읊어진 인물과 노래의 제 작시기를 추정하는 단서로 제시하였다는 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목차


 1. 머리말
 2. <恨む>의 대상과 표출 양상
 3. 아쓰미치 친왕·다치바나노 미치사다 관련 <恨む>노래
 4. <恨む>와 조합된 가어 「涙나미다」 , 「身미」
 5. 나오며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노선숙 Ro, Sunsook. 부산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