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notation of Japanese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Japanese name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notation of Japanese, and practical use of historical phonology research materials. As a result, person in post and office is written in notion of Japanese name, driftage people is written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Vowel notation used that ‘a’ is a(阿), ‘i’ is ʼi(伊, 而, 二), ‘u’ is ʼu(祐、又), ‘e’ is ‘yəi(芮、曳), ‘o’ is ʼo(伍、吾), the problem about phonetic value is that ‘e’ use chinese character, [je]. In consonant notation, Ha kyou(行) is divided into /pʰ/ and /h/ which is used separately. It indicates that there is still a labial sound. A long vowel notation also has a way to add character that indicates vowel. And found that the vocabulary of the sound of Sino Korean characters notation is useful for Japanese historical phonology research materials.
한국어
이 논문은 朝鮮王朝實錄에 散在해있는 日本人名을 조사하여, 日本語音의 表記法과 일본어 音韻史 硏究資料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 결과 日本人名의 表記法은 지위나 관직이 있는 인물은 日本式 表記로 기록되어 있고, 심부름꾼이나 漂 着民은 韓國漢字音에 기준한 漢字表記로 표기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母音表記에서 音 價의 문제가 있는 e는 [je]의 漢字를 사용하고 있고, 子音表記는 カ行音, サ行音, タ行 音, ナ行音, マ行音, ラ行音에 관해서는 문제되는 것은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는 『海東諸国紀나『日本行録에 散在해있는 地名表記에 사용된 한자와 동일한 표기가 많았다. 또 ハ行音은 子音 h와 pʰ․p로 시작하는 漢字音이 混用되어, 唇音性이 남아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곳이 많았다. 濁音表記는 捷解新語와 같이 濁音 앞 音節 終聲에 鼻音韻尾의 한자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었다. 長音表記는 「宗」을 「所溫」으로 표시하 는 등 母音을 나타내는 文字를 첨가해서 나타내고 있는 것이 많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韓国漢字音을 기준으로 한 音訳表記는 日本語 音韻史研究資 料로 유익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日本 国内資料와 비교하면서 実録 에 산재하는 日本音의 音價를 추정하고자 한다.
목차
1. 序論
2. 「実録」の日本人名の実態
2.1. 日本式の人名表記
2.2. 韓国漢字音に基づいた音訳表記の人名
3. 日本人名表記の音價
3.1. 母音表記
3.2. 子音表記
3.3. 濁音表記
3.4. 拗音表記
3.5. 撥音表記
3.6. 長音表記
4. 結論
<참고문헌>
<국문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