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Image of Father in Korean Residents´ Literature in Japan
초록
한국어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와 해방이후의 재일 코리언 문학에 나타난 ‘아버지상’을 재 일 중간세대(이회성, 김학영, 이양지, 양석일 등) 작품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특히 유 교적인 가치관은 전통양식, 권위주의적 남성, 제사의식을 통해, 이데올로기적 표상은 육체노동의 공간, 고립/단절된 삶을 통해 ‘부성’을 짚었다. 한편 이회성 소설은 디아스 포라의 “한없는 ‘부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는데, 이러한 문학적 천착은 최근의 재 일 코리언 문학의 문학에서도 형상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현대사회의 병리적 현상(유미리), 한국(한국인)/일본(일본인) 사이의 갈등과 공생(김길호), 아버지의 산소를 둘러싼 가족구성원의 대립과 갈등(김창생), ‘코리언 재패니즈’의 현실주의(가네 시로 가즈키) 등이 그러하다.
일본어
本稿では、日帝強占期と解放以後の在日コリアン文学に現れる‘父親像’を“在日 朝鮮人文学らしい文学”という観点から儒教的な価値観、瘠薄な生活空間、孤立し た個我を中心に取り上げた。そして、在日中間世代の作家たち(李恢成、金鶴泳、李良枝、梁石日など)の小説を通してイデオロギーとディアスポラの表象としての 前世代(父親)の行跡を指摘した。特に‘父親像’の諸樣相を儒教的な世界観と連携さ せ、伝統樣式、権威主義的な男性、祭祀意識の側面から指摘し、異国での職業と 生活空間、孤立/断絶された生活での狂気を通して‘負性’の実体を指摘した。一 方、前世代の異端的な歩みの原罪意識と関係深い国家と民族、歴史と理念の側面 のイデオロギー支点を確認できた。このようなイデオロギーの表象とディアスポ ラの“限りない‘負性’”に対する文学的穿鑿は、最近の在日コリアン文学でも部分 的に形象化されていることがわかる。例えば、柳美里の小説での現代社会の病理 的現状における対立と拮抗の観点、金吉浩の小説での大阪コリアンタウンに澎湃 した韓国(韓国人)/日本(日本人)の間の葛藤と共生がそうである。また、故郷の地 に奉った父親の墓についての兄弟間での対立と葛藤を描いた金創生の小説、脱民 族的な観点から‘コリアンジャパニーズ’の現実主義を穿鑿した金城一紀の文学で も一定部分のイデオロギーとディアスポラの視線を読み取ることができる。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타자화’ 된 공간과 ‘아버지’의 삶
1) 유교적 가부장제
2) 일본에서의 직업과 삶의 공간
3) 바깥세계와의 단절과 광기
3. 이데올로기의 표상 - 아버지
4. 디아스포라의 표상 - 아버지
5.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윤식(1974)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一志社.
- 2김환기(2006)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새미.
- 3김학영(1922) 소설집얼어붙은 입(하유상 역), 화동출판사.
- 4金鶴泳(1988) 흙의 슬픔(姜尙求譯), 日善企劃.
- 5양석일(1998) 피와 뼈①(김석희 옮김), 자유포럼.
- 6이회성(1992) 유역(김석희 옮김), 한길사.
- 7이회성(1972) 다듬이질 하는 여인(이철호 역), 정음사.
- 8추석민(2008) 「高史明文學硏究」, 재일 동포문학과 디아스포라, 제이엔씨.
- 9金鶴泳(1986) 金鶴泳作品集成, 作品社.
- 10金達壽(1980) 金達壽小說全集(全1卷), 筑摩書房.
- 11金達壽(1977) 私のアリラン歌, 中央公論社.
- 12李恢成(2006) 砧をうつ女, 〈在日〉文学全集4-李恢成, 勉誠出版.
- 13川村湊(1995) 戦後文学を問う, 岩波書店.
- 14磯貝治郎(2004) 〈在日〉文学論, 新幹社.
- 15竹田青嗣(1995) 〈在日〉という根拠, 国文社.
- 16玄 月(2003) 蔭の棲みか, 文芸春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