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계몽기 석정 이정직의 논어관과 학습의 방향

원문정보

Viewpoint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Learning Direction of Seokjeong JEONG-JIK LEE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이승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okjeong JEONG-JIK LEE is a scholar who tried to render a form of service for his country by writing works of literature during the crisis of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He mainly expressed his perception of reality through an evaluation of historical figures. He left behind a text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ch is known as the ‘10 questions and answers regar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his posthumous work. It seems that he wrote it to be used as lecture material for his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his recognition to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its learning direction expressed in the writing ‘10 questions and answers regar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respect to the word ren(仁),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concept of the Analects, he viewed his life in an introspective way from the standpoint of a ‘Hoinyupe(好仁有蔽)’, which means that if you like kindness and fairness but don’t like learning it, then there will be negative effects, and through the ‘Gwangwajiin(觀過知仁)’, which means that you will know for sure kindness and fairness when you observe wrongdoing, not the general viewpoint of ‘Humaneness or Love’. He tried to determine the meaning of ren, and virtue(德) through a common denominator from an overall point of view. It might have been a reflection of his thoughts that a sound comprehension of powerful countries was needed.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Gunja(君子) and Myeong(命), Gunja needs to make constant efforts to understand Myeong as a talented person who can maintain order. The direction of learning was examined under three categories: Jongipjibang(從入之方), Gunjajiryu(君子之類), and Sumunihae(隨文而解). Jongipjibang is defined as a way to complement the weaknesses of leaner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it promotes a focus on pushing ethics into practice rather than acquiring knowledge as it is today. Gunja was classified into 3 stages. However, it merely provides standards to help learners’ understandings, so not all students may fall into these stages. Sumunihae gives explanations of commentaries on the book. Seokjeong remarked that the meaning was not different even if the same concept was annotated differently in the “Four Books”. This is because the context was emphasi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osisojeol Pilchakpilseom (所始所切, 必着必贍)’.

한국어

석정은 근대계몽기라는 위기의 시대에 문장보국을 실현하고자 한 지식인이다. 그는 주로 역사 인물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 자신의 현실 인식을 표출하였다. 그는 󰡔유고󰡕에 󰡔논어󰡕에 대한 <논어 10문 10답>이라는 글을 남겼다. 이는 학생들과의 수업 교재로 활용하고자 작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 <논어 10문 10답>에 드러난 석정의 논어 인식과 그것의 학습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는 󰡔논어󰡕의 핵심 사항인 仁에 대해 ‘사람다움이나 사랑’의 일반적 관점이 아닌, 호인유폐(好仁有蔽)와 관과지인(觀過知仁)의 관점에서 반성적 성찰의 시대인식을 보였다. 仁과 德에 대해서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는 당시 열강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다는 석정의 생각이 반영되었다 할 것이다. 군자와 命의 관계에는 군자는 질서를 바로잡을 수 있는 인재로서 命을 알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식이 담겨 있다. 학습의 방향은 크게 종입지방, 군자지류, 수문이해로 살펴보았다. 종입지방은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단점을 보완해 주는 방향을 취하고 있으며, 오늘날과 같은 지식의 습득이 아닌 도덕적 실천에 학습의 중점을 두고 있다. 군자는 크게 3단계로 나누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준을 마련한 것이지, 모든 제자들을 이에 맞추어 분류할 수는 없다. 수문이해는 문장에 따른 적합한 풀이이다. 동일한 개념을 󰡔사서󰡕에서 달리 주석한 이유를 석정은 ‘소시소절 필착필섬(所始所切, 必着必贍)’의 원칙을 가지고 문맥에 따라 강조점을 둔 것이지, 뜻이 다르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석정의 논어관
  1. 인의 판단 기준
  2. 인과 덕의 관점
  3. 군자와 명의 관계
 Ⅲ. 학습의 방향
  1. 종입지방(從入之方)
  2. 군자지류(君子之類)
  3. 수문이해(隨文而解)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용 Lee Seung-yong. 선문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