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660년 백제의 방어전략 회의와 방어전 재검토

원문정보

Reexamination of the Defense Strategy Conference and the Defense Battle of Baekje in 660

남정호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53호 2018.07 pp.105-13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hows Baekjae’s defense strategy under the attack of the Silla-Tang Allied forces in 660, and focuses on the battle of Hwangsanbeol, Gibeolpo (an estuary of Eungjin river), and southern Sabi Castle. It is thought that the essential defense system of Sabi Castle must have been well equipped with. Tanhyeon and Gibeolpo belongs to the first line of defense, mountain fortress in eastern region of Daejeon, such as Jinhyeon Castle, and Galim Castle to the second, and Na Castle, which is outer castle of Sabi Castle, and Buso mountain fortress belongs to the third line of defense. This study divided the defense strategy of Baekjae into 3 stages. The first phase was the conflict between Uijik and Sangyeong: Uijik proposed that they have to attack Tang force first because they don’t know where Tang started to attack, while Sangyeong suggested that they have to fight Silla first. King Euija’s trust in their military decision was not established, so the king asked Jwapyeong Heungsu for advice. Then comes the second phase of the defense strategy: the conflict between Heungsu’s view and other subjects’ view. Heungsu demanded that the central forces have to be dispatched to Tanhyeon and Baek river and protect Silla-Tang Allied forces, making the war delayed through the protesting. Other subjects argued ending the war quickly with the central forces. The critical problem here was whether to follow Hengsu’s or other subjects’ view. Those days, Baekjae got in trouble. the subjects who followed crown prince Jung lost their power, while the subjects who followed SoWang(小王) Hyo got their power. The latter didn’t want Hengsu’s suggestion to be adopted because it could make the former’s power extended. Also, the rebellion could occur in the absence of central forces when the extended war happened. Therefore, Heungsu’s assertion was hard to be supported. During this dispute in Baekjae, Silla-Tang force already passed Tanhyeon and Gibeolpo where the regional forces had protected. The third phase was that Baekjae couldn’t help sending some central forces to Hwangsanbeol and preventing Silla’s advance, and the rest of forces protected Sabi Castle prepared with the attack of Tang force. Looking closely at the defense war against Silla-Tang allied force, The Battle of Hwangsanbeol was sending Gyebaek’s 5000 troops to block Silla forces around Gaetae temple which advanced over Tanhyeon, the first line of defense and Daejeon, the second line of defense. The battle of Gibeolpo (an estuary of Eungjin river) was to defense Silla-Tang allied force which attacked in seaway. In the battle, Silla-Tang allied force, which skillfully avoided the defense line of Baekjae and landed in Eungpo, won Baekjae and marched around Gangyeong and Gunsan. During the war at southern Sabi Castle, the regional forces and central forces of Baekjae assembled and struggled. However, Tang force defeated Baekjae even in the absence of Silla force killing and enslaving 10000 Baekjae forces. At last, troops defending Sabi Castle were so deficient that King Euija escaped to Eungjin Castle, and Sabi Castle collapsed helplessly.

한국어

이 논문은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에 직면하여 의자왕이 주재한 방어전략 회의에서 제시된 백제의 방어 전략을 살펴보고, 실제 전개된 황산벌 전투, 기벌포(웅진강구) 전투, 사비성 남쪽의 전투를 백제의 방어 전략에 맞추어 분석한 것이다. 먼저 백제에서는 기본적인 사비도성 방어 체제가 갖추어져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1차 방어선은 탄현과 기벌포, 2차 방어선은 진현성 등의 대전 동부 지역의 산성들과 가림성, 3차 방어선은 사비성의 나성과 부소산성으로 파악하였다. 백제의 방어 전략 회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 단계로 나누어 보았다. 첫 번째 단계는 나당군의 진격로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당군을 먼저 공격하자는 의직의 견해와 신라군과 결전하자는 상영의 견해가 대립하였다. 의자왕은 두 사람에 대한 군사적 믿음이 부족하여 어떤 선택을 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다시 좌평 흥수의 의견을 구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흥수의 견해와 대신들의 견해가 대립하였다. 여기서 최대 논쟁점은 흥수의 제안대로 중앙군을 탄현과 백강에 파견하여 신라군과 당군을 막으면서 농성을 통한 장기전으로 가느냐, 아니면 대신들의 견해처럼 중앙군을 중심으로 빠른 시일 내에 승부를 결정짓느냐의 문제였다. 당시 백제는 태자 융을 지지하던 세력이 쇠퇴하고 소왕 효를 따르는 세력이 우세해지면서 양 세력 간의 대립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 후자에 속하는 대신들이 흥수의 의견이 채택되어 전자의 세력이 확대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중앙군을 탄현과 기벌포로 파견하여 장기전을 치루는 것은 정변의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선택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이런 논의가 지속되는 과정에 이미 신라군과 당군은 지방군이 방어하던 탄현과 기벌포를 통과해버렸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어쩔 수 없이 중앙군 일부를 황산벌로 파견하여 신라군의 진격을 막고 나머지 병력은 사비성을 지키면서 당군의 공격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실제 신라군과 당군을 막기 위해 펼쳐진 방어 전투를 살펴보면, 황산벌 전투는 1차 방어선인 탄현과 2차 방어선인 대전 지역마저 통과한 신라군을 저지하기 위해 중앙군인 계백의 5천 결사대를 파견하여 개태사 일대에서 막고자 한 것이었다. 기벌포(웅진강구) 전투는 해로로 공격한 나당군을 막기 위한 전투였는데, 백제군의 방어선을 교묘히 피해 웅포 일대에 상륙한 나당군이 백제군의 공격을 물리치고 강경 일대와 군산 방면의 양 쪽으로 진격한 것으로 보았다. 사비성 남쪽에서의 전투에서는 당군이 사비성 남쪽 지역에 이르자 백제군은 신라군이 합류하기 전에 중앙군과 주변 지방군을 총동원하여 당군에 대한 대공세를 펼쳤으나 1만여 명이 죽거나 사로잡히는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이렇게 되자 사비성 방어 병력이 부족해져 의자왕은 웅진성으로 피신하였고, 결국 사비성은 쉽게 함락되고 말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의 방어전략 회의
  1. 선행 연구 검토
  2. 방어전략 회의의 논쟁점
 Ⅲ. 백제의 방어전
  1. 황산벌 전투
  2. 기벌포(웅진강구) 전투
  3. 사비성 남쪽 1사(舍) 지점에서의 전투
 Ⅳ.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남정호 Nam, Jung-Ho. 대구외국어고등학교 교사 및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