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eveloping an Index for Emergency Action Plan Using Flood Characteristics : The Case of Saemangeum Lake

원문정보

홍수특성을 이용한 새만금호 비상대처계획 지표 개발

Dong Joo Kim, Hyung San Kim, Seung Jin Maeng, Ju Ha Hwa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arge hydraulic facilities such as sea dike, breakwater bank and river bank, can protect a lot of lives and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from flood. For sea dikes where EAP(Emergency Action Plan) has been established, emergency situations or countermeasures has been classified, but there is no index to separate them. If a manager performs stepwise measures based only on “forecasting” in the situational stage, their active responses are highly likely to face limitations. This research aims to perform hydraulic and hydrologic safety review on sea dikes according to the inflow of extraordinary floods from upstream of sea dikes and tributaries in order to provide sea dike operators with more accurate information by presenting an index for every emergency stage. The results, including hydraulic and hydrological data on flood level, travel time, and so on,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sea dikes with or without EAP as a response index required for disaster management.

한국어

홍수재해로부터 많은 인명과 각종 산업시설을 보호하고 있는 방조제, 방수제 및 하천제방 등의 대형 수리시설물들은 그 설계 및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지이용의 변화, 집중호우, 이상홍수, 지진 등의 기상이변 등으로 인하여 홍수와 토석류 등의 범람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 한 홍수범람으로 인한 재해는 많은 인명손실과 극심한 재산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를 발생하므로 재해발생에 따른 적절한 홍수예경보 및 피난대책 수립 등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방조 제에 대한 비상대처계획이 수립된 지역의 경우 비상상황분류의 상황전개나 조치사항은 분류되어 있으나, 이를 구분하는 지표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단지 상황단계에서의 “예상”으로 단계별 조치가 이루어질 경우 관리자가 보다 더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한계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역의 비상상황 발생에 따른 단계별 지표를 제시하여 방조제 운영자에게 보다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상대처계획이 기 수립되거나 수립되지 않는 방조제에 대하여 홍수위 및 도달시간 등의 수문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방조제 재난관리에 필요 한 대응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유역 및 연구방법
  1. 대상유역 현황
  2. 연구방법
 Ⅲ. 모형 선정 및 구축
  1. 모형 선정
  2. 모형구축
 Ⅳ. 결과 및 고찰
  1. 모형의 검⋅보정
  2. 모형의 운영조건
  3. 최대홍수위 분석결과
  4. 새만금 비상상황 분류
  5. 재난지표 제안
  6. 가상 시나리오에 의한 재난지표 적용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Dong Joo Kim Koead Rural Community Corporation, Geurin-ro 20, Naju-si, Jeollanam-do, Korea
  • Hyung San Kim K-water Convergence Institute, 1689 Beon-gil 125, Yuseong-daero, Yuseong-gu, Daejeon, Korea
  • Seung Jin Mae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 Rur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Ju Ha Hwa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 Rur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