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n the Effects of Client Viol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elfare Officer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원문정보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이 경험한 클라이언트 폭력이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Jeong Keun Kim, Seung Kw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client viol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elfare officers in Kore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Using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Sobel’s Z-test,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301 social welfare officers who experienced violence by cli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re the experience of violence by the client, the low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elfare officers. Secondly, the more the experience of violence by the client, the lower the level of self-esteem of social welfare officers.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be positive. Finally,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immediate action would be needed to prevent client violence to avoid deterioration of the commitment level toward organization among social welfare officers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에 의한 폭력 피해를 경험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301명을 대상으로 클라이언 트 폭력이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Sobel의 Z검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클라 이언트에 의한 폭력 피해의 경험이 많을수록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조직헌신도는 저하되며, 자아 존중감 또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과 종속변수인 조직헌신도의 관계는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클라이언트 폭력과 조직헌신도 사이의 자아존 중감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조직헌신도 를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의한 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조직헌신도를 향상하기 위해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제 고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첫째, 클라이언트에 의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폭력 피해 실태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 및 관리, 둘째,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물리적 업무환경 개선, 셋째,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폭력 피해 방지를 위한 법⋅제도적 장치의 조속한 마련 을 제언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1. 사회복지 전담공무원과 클라이언트 폭력
  2. 조직헌신도
  3.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 주요변수의 측정
  4.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의 평균 비교
  4.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및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Jeong Keun Kim Bus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Institute, 993, Jungang-daero, Busanjin-gu, Busan, Korea
  • Seung Kw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ongeui University, 52-57, Yangjeong-ro, Busanjin-gu, Busan,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