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페스티벌 브랜딩을 위한 프로젝션 맵핑 개발연구

원문정보

Development of Projection Mapping for Festival Branding

유정선, 정진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image contents of festival branding which maximizes the effect of projection mapping. The research subjects are domestic and overseas video including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he 2018 Inter-Korean Summit Talks Media Show, and the 2015 Gwangju Universiade. The research method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festival branding based on Mixed Reality. The applicability to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researcher means three things: palceless, material variation, and time expansion. Based on this, the reciprocity of the projection mapping between the director and the user can be schemat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ages of various venues such as stadium, sky, The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enabled the active reinterpretation of objects to the audience such as digital lines, moving structures, and brush touches. As for the expansion of time, the historical motif change is derived by the flow of time such as classical motive, dynamic direction, and the nighttime. The change that stimulates the five senses beyond the vision showed a sense of communicative power by represent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virtual through technical and empirical realization. In conclusion, high-level image utilization such as projection mapping builds festival branding with unique festival content. Mixed reality, which is the expansion meaning of projection mapping, combines virtual and reality to show new visual information and enables real-time interaction without additional wearing equipment.

한국어

본 연구의 연구배경 및 목적은 프로젝션맵핑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구현하는 페스티벌 브랜딩의 영상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개막식, 2018 남북정상회담 환송미디어쇼, 2015 광주유니버시아드 등을 포함한 국내외 영상자료 이다. 연구방법은 혼합현실(Mixed Reality)을 바탕으로 페스티벌 브랜딩의 적용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의 조작적 정의로 적용성은 장소의 탈각(Palceless), 물성의 변화(Material variation), 시간의 확장(Time expansion) 등 세가지를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렉터와 유저간의 프로젝션맵핑의 상호성을 도식화 할 수 있다. 연구결과, 장소성의 탈각으로 경기장, 하늘, 캔버스 등 다양한 장소의 이미지가 변화하였다. 물성의 변화로는 디지털라인, 움직이는 구조물, 붓터치 등 수용자에게 오브제의 능동적 재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시간의 확장에 대하여 고전적 모티브, 동적인 방향성, 낮밤 등 시간의 흐름으로 역사적 모티브 변화를 도출하였다. 시각 외의 오감을 자극하는 변화는 기술적, 경험적인 구체화를 통하여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대변하여 공감각적 전달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프로젝션맵핑과 같은 고도의 영상활용은 고유한 축제 콘텐츠로 페스티벌 브랜딩을 구축한다. 프로젝션맵핑의 확장적 의미인 혼합현실은 가상과 현실이 합쳐져 새로운 영상정보를 보여주고 별도의 착용 장비없이 실시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혼합현실(Mixed Reality)의 개념
  2.2. 페스티벌 브랜딩의 개념
 3. 국내외 사례연구
  3.1.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3.2. 남북정상회담 환송미디어쇼
  3.3. 해외사례
 4. 연구 내용
  4.1. 프로젝션맵핑(Projection Mapping) 연구대상
  4.2. 장소의 탈각(Palceless)
  4.3. 물성의 변화(Material variation)
  4.4. 시간의 확장(Time Expansion)
 5. 결론
  5.1. 연구 결과의 요약
  5.2. 시사점과 연구방향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정선 Yu Jung Sun.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 정진헌 Chung Jean Hun.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