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3장. 산림 속 은거의 공간, 조선의 구곡과 구곡도

원문정보

윤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1. 산림과 구곡문화
 2. 무이구곡도의 전래와 변용
  가. 현존하는 무이구곡도의 대표작
 3. 율곡 이이(李珥)의 고산구곡(高山九曲)과 〈고산구곡도〉
  가. 고산구곡도의 내용과 특징
 4. 곡운 김수증(金壽增)의 곡운구곡(谷雲九曲)과 《곡운구곡도》
  가. 김수증의 은둔과 곡운구곡
  나. 구곡경영과 산림에서의 생활
  다. 《곡운구곡도》의 회화적 성격
  라. 실경의 묘사와 핍진(逼眞)의 추구
  마. 《곡운구곡도》와 은둔공간의 형상화
  바. 실경과의 비교고찰
 5. 퇴계 이황(李滉)의 <도산도(陶山圖))와 도산구곡
  가. 이황의 도산(陶山) 복거와 도산도
  나. 김창석 작 〈도산도〉의 특징
  다. 조선후기 도산도(陶山圖)의 전개
  라. 도산도의 전통과 도산구곡
 6. 한강 정구(鄭迷)의 무홀구곡(武屹九曲)과 《무흘구곡도》
  가. 구곡도의 전승과 산림 속의 무흘구곡(武屹九曲)
  나. 무흘구곡(武屹九曲)의 조성과 특징
  다. 《무흘구곡도》의 검토
  라. 그림과 실경의 비교
  마. 서운암도(樓雲庵圖)
 7. 산림과 구곡문화의 의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왕실문헌연구실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