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제작인력의 업무효능감 및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 의사소통능력의 간접효과와 경력장애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Film Crews' Job Efficacy and Job Autonomy on Their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Indirect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Barrier

이희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situation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film crews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film industry. An empirical study was attempted with 402 film crews.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the following: (1) the direct effects of film crews' job efficacy and job autonomy levels on their degrees of job satisfaction, (2)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n job satisfaction, and (3) the moderating effect of a career barrier.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job autonomy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both groups,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s significant between job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mong film crews with higher career barriers, job efficacy does not directly affect job satisfaction. In the group with a lower career barrier,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s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at further enhances the positive effect of job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s emphasized. Second, job efficacy does not have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among film industry workers with higher career barriers, and the effect of job efficacy is significant in the group with lower career barriers. Hence, a moderation effect is proved. A positive effect of job 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of film crews cannot be expected when the level of the career barrier is high. In order to demonstrate the job efficacy of film industry worker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here have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efforts to reduce the career barrier should be concurrently made.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산업의 팽창과 함께 양질의 영화제작 인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영화제작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다양한 직종 및 직급의 종사자들(402명)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만족에 업무능력 및 자율성이 미치는 직접효과,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그리고 이러한 직간접효과가 경력장애에 의해 어떻게 유의하게 달라질 수 있는지 경력장애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첫째, 경력장애가 적거나 많은 집단 모두,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는 않았지만, 의사소통을 완전매개(full mediation)로 하여,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부가하여 경력장애가 높은 집단에서,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비록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의사소통능력을 완전매개로 하여 유의한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경력장애가 낮은 집단에서도, 의사소통능력은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한층 더 강화시킨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어,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직접적인 효과 뿐 만 아니라, 매우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둘째, ‘업무효능감➝ 직무만족’ 경로는 경력장애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경력장애가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여 경력장애 수준에 따른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상이하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영화제작 인력의 직무만족에 이들의 업무 효능감이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는 경력장애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기대할 수 없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영상제작 인력의 업무효능감이 직무만족을 높이는 순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경력장애를 감소시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고,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논의하였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검토
  2.1 기본심리욕구이론과 긍정심리자본
  2.2 경력장애 이론
  2.3 영화제작 인력의 임금(소득)의 특성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조사대상자 및 자료수집
  3.3 주요 변수 및 측정도구
  3.4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5 분석방법
 4. 분석결과
  4.1 조사응답자의 특성
  4.2 주요변수들의 평균비교
  4.3 변인들의 기술통계, 상관관계, 정규분포성
  4.4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4.5 최적구조동일화 모형분석
  4.6 경력장애 수준별 두 집단의 모형분석 및 경력장애의 조절효과분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희진 Lee, Hee Jin.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